위봉산 ()

목차
관련 정보
위봉산
위봉산
자연지리
지명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과 동상면에 걸쳐 있는 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과 동상면에 걸쳐 있는 산.
내용

높이 524m. 동남쪽의 원등산(遠登山, 713m), 동북쪽의 화부산(貨付山, 602m), 서쪽의 서대산(西大山, 612m) · 종남산(終南山, 600m) 등과 같이 전주시의 동부 외곽을 이루는 산지 중의 하나이다.

동쪽 사면을 흘러내린 계류는 사봉천(詞峯川)을 이루고 다시 북류하여 동상저수지(東上貯水池)를 거쳐 대아저수지(大雅貯水池)로 흘러든다. 남쪽 사면은 완만하며 산록에는 송광사(松廣寺)와 위봉사(威鳳寺) 등의 사찰과 위봉산성(威鳳山城)이 있다.

위봉사는 우리 나라 불교사찰의 31본산 중의 하나이며, 백제시대 604년(무왕 5)에 서암대사(瑞巖大師)가 창건하였다. 경내에는 1977년 보물로 지정된 위봉사보광명전이 있다. 위봉산성은 조선 태종 때 쌓은 성으로 성내에는 행궁(行宮)과 진전(眞殿)의 터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지지(韓國地誌) -지방편(地方篇) Ⅳ-』(건설부 국립지리원, 1986)
『한국지명총람』(한글학회, 1981)
『전라북도지(全羅北道誌)』(전라북도지편찬위원회, 196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