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시병 ()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중추원1등의관, 독립협회 총대위원, 일진회 회장 등을 역임한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51년(철종 2) 1월 1일
사망 연도
1932년 2월 5일
관련 사건
독립협회|일진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한제국기 중추원1등의관, 독립협회 총대위원, 일진회 회장 등을 역임한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개설

1851년 1월 1일 출생했다. 조선 말기에 첨지중추부사, 시종원 시종 등을 지냈고, 대한제국기에는 중추원 의관, 일진회 회장 등으로 활동했다. 1932년 2월 5일 사망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85년 3월 선전관(宣傳官), 6월 친군별영(親軍別營) 초관(哨官), 8월 내무부 군무사(軍務司), 1887년 5월 내무부 전운낭청(轉運郎廳), 1890년 12월 부호군(副護軍), 1891년 8월 당상 선전관 등을 재임했다. 1893년 8월 첨지중추부사, 12월 훈련원 도정, 1894년 12월 친군총어영 별장에 임명되었다. 1895년 4월 시종원 시종이 되었으나 6월 퇴직했다.

1896년 4월 독립협회 총대위원으로 활약했으며 1898년 5월 중추원 1등 의관으로 복직되었다가 7월 퇴직했다. 같은 해 9월 독립협회 총대위원을 맡았고 11월 만민공동회 총대로 선출되어 두각을 나타냈다. 1898년 11월 29일에는 유맹(劉猛), 최정덕(崔廷德), 이승만(李承晩) 등과 함께 독립협회 출신으로 중추원 의관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독립협회 해산과 간부체포 때, 정부의 추적을 피해 미국인 집으로 피신하여 체포·투옥을 모면했다.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한 후 일본군이 서울에 진주해 들어오자, 8월 송병준(宋秉畯)과 의기투합하여 유신회(維新會)를 조직해서 임시회장에 취임했다. 같은 달 20일 유신회의 명칭을 일진회(一進會)로 바꾸자 일진회 회장이 되어 1905년 12월까지 재임했다. 러일전쟁 때, 일진회 회원을 동원하여 일본군 군수물자 수송, 일본군 첩보활동을 벌이고, 일본군 병력이동에 필요한 철도부설 공사를 수행했다. 1905년 12월부터 일진회 총무원을 맡았으며, 1906년 함경남도 원산에 어업조합회사를 창립해서 중역으로 참여했고, 1907년 1월 함경남도에 해산진흥(海山進興)어업회사를 설립하기 위해 농상공부에 청원했다.

1907년 7월 일진회 해아(海牙, 헤이그)문제연구위원회 위원, 8월 일진회의 ‘순종황제즉위경축식’ 위원장으로 활동했으며, 11월 일진회에서 의병전쟁을 진압하기 위한 자위단원호회를 창설하자고 제안했다. 같은 달 통감부에서 개최한 일본천황 생일을 기념하는 천장절 원유회에 초청받았다. 1908년 3월 중교의숙(中橋義塾)에 노동야학회를 조직하고 총재가 되었으나 회원들의 임금을 횡령해서 회원 불만이 커지자 노동야학회를 해산시켰다. 11월 러일전쟁 때 일본군에 적극 협조한 공로로 일본 정부로부터 욱일소수장(旭日小綬章)을 받았다.

1909년 1월 일진회원을 주축으로 하는 대한노동회사를 새로 설립해서 3월 총재에 취임했고, 서진청연방단(瑞進淸聯坊團)을 조직할 때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3월 일진회 총재선거에 출마했으나 송병준에게 밀려 낙선했다. 7월 민종묵(閔種默)이 고종의 복위를 기도한다는 사실을 가지고 민종묵의 아들 민철훈(閔哲勳)을 협박해 1,700원에 상당한 재산을 탈취한 일이 발각되어 경시청에 체포되었다.

한일병합 후인 1910년 9월 일진회가 해산될 때 해산비 500원을 받았다. 1913년 10월 조선총독부가 수행하는 공주-논산간 도로공사에 토지를 기부해 목배(木杯)를 받았다. 1914년 7월 일진회 해산 후 국민농업회사 재산정리가 해결되지 않았다면서 총독부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1934년 11월 일본 우익단체 흑룡회가 도쿄의 메이지신궁교 옆에 세운 일한합방기념탑 석실 안에 ‘일한합방공로자’로 이름을 올렸다.

윤시병의 이상과 같은 활동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6·19호에 해당하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되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11: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pp.303∼307)에 관련 행적이 상세하게 채록되었다.

참고문헌

『독립신문(獨立新聞)』(1896.4.7; 1898.11.19.)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Ⅳ-11: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현대문화사, 2009)
『친일인명사전』2(민족문제연구소, 2009)
『친일파99인: 분야별 주요인물의 친일 이력서』(반민족문제연구소, 돌베개, 1993)
『원한국일진회역사』(이인섭, 문명사, 1911)
『朝鮮紳士寶鑑』(田中正則, 朝鮮文友會, 1913)
『朝鮮紳士名鑑』(牧山耕藏, 日本電報通信社京城支局, 191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db.history.go.kr)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www.koreanhistory.or.kr)
집필자
이은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