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주 ()

목차
관련 정보
귀로 / 이달주
귀로 / 이달주
회화
인물
해방 이후 「귀로」, 「샘터」, 「비둘기와 소녀」 등을 그린 화가. 서양화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1년
사망 연도
1962년
출생지
황해도 연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해방 이후 「귀로」, 「샘터」, 「비둘기와 소녀」 등을 그린 화가. 서양화가.
내용

황해도 연백 출생. 해주고등보통학교를 거쳐 일본의 동경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 유화과에 유학하였다가, 1944년 9월 태평양전쟁으로 인하여 앞당겨 졸업하였다. 8·15광복 후, 연안과 서울에서 중학교·고등학교 미술교사로 생활하며 작품활동을 보였다.

1959·1960년에 독특한 향토적 정감의 작품 「귀로」와 「샘터」가 국전(國展)에서 특선에 올랐고, 1961년에는 추천작가로서 「비둘기와 소녀」를, 그리고 1962년에는 서양화부 심사위원으로 「소녀」를 출품하는 등, 제작생활의 활기를 띠다가 불의의 뇌일혈로 사망하였다.

국전 참가 외에 1958년 양화가단체 신기회(新紀會) 창립회원, 1962년 신상회(新象會) 창립회원으로 적극적인 화단활동 의지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그 시기에 뚜렷한 표현적 특질을 실현시켰다.

주제는 향토적인 소재의 여인 생활상과 소년·소녀의 모습에 집중되었으나, 화면전개에서 자유로운 조형적 변용과 다분히 장식적인 형상으로 특이한 서정적 내밀성이 추구된 작풍이었다. 대표작으로 「귀로」(1959) 등이 있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