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발소는 본래 서양에서 외과병원을 겸하기도 했기 때문에 간판이 적색·백색·청색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간판의 시초는 1540년 파리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우리 나라는 예로부터 유교사상에 의하여 머리털은 신체와 함께 부모에게 물려받은 것으로, 그것을 훼손하지 않는 것이 효(孝)의 시작이라고 하여 장발(長髮)이 지켜져 왔다. 그러다가 1895년(고종 32) 11월 단발령이 내려지면서부터 서구식 이발이 시작되었다.
단발령을 발표한 날 고종은 대신들과 함께 머리를 깎아, 짧게 깎은 머리 1호가 된 셈이다. 당시 일부 대신들은 단발령을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고, 이것은 마침내 을미의병운동의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머리 모습은 1920년을 전후로 많은 유학생들이 일본에 다녀오면서부터 커다란 외형적 변화를 일으켰다. 당시 문학잡지에는 “하이칼라 머리에 망토를 걸친……” 등의 말이 유행하였다. 그 뒤부터 점차 전통적인 머리 모습에서 서구식 짧은 머리 모습으로 바뀌기 시작하였다.
광복 이후부터 1960년 초까지 남자 머리모양은 크게 두 갈래로 유행하였다. 하나는 가르마를 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가르마 없이 완전히 뒤로 빗어 넘기는 ‘올백’형이다. 가르마를 탈 경우에는 왼쪽, 오른쪽, 중간의 세 가지 유형이 있는데, 젊은층은 대부분 왼쪽으로 하고 중년층은 중간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가르마 없이 완전히 빗어 넘기는 경우는 1950년대 말 중년층 이상에서 유행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1970년대 중반에 접어들면서부터는 젊은 층이나 중년층 할 것 없이 장발이 크게 유행하여 귀를 덮는 머리 모습이 성행하였다.
따라서 이발소에서도 기계보다는 가위로만 깎기도 하였다. 또한 이러한 장발은 머릿기름을 거의 쓰지 않게 만들었다. 한편, 어린이의 머리는 광복 후에도 한동안 짧은 머리와 상고머리가 계속되다가 1960년대 이후 점차 길어졌다.
중·고등학생의 경우 1960년대 초까지는 대체로 짧게 깎다가 점차 스포츠형이라고 하여 앞머리를 3∼5㎝ 정도로 기르는 형태로 바뀌었다. 그런데 1970년대에 접어들어 너무 길어지자 서울시의 경우 학무국에서 장발 학생들의 풍기를 단속하는 감독기관을 설치하자는 계획을 세우기도 하였다.
그 뒤 1981년에 문교부가 학생들의 두발 자유화를 발표하면서부터 귀만 덮지 않는 정도의 긴 머리 모습으로 바뀌었다.
한편, 이발소에서 일하는 사람도 1960년대까지는 모두 남자들이었는데, 196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머리를 깎고 다듬는 일은 남자 이발사가 하고 면도는 면도사라 하여 여자가 담당하는 곳이 많아졌다.
1980년대에 접어들어서는 이발소 내부의 모습도 변화되어 대도시에는 칸막이를 하고 밀실에서 영업하는 이발소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영업 행위는 미풍양속에 저촉되므로 퇴폐업소로 규정되어 당국의 단속 대상이 되었다.
1987년 당시 전국에 2만 5518개소의 이발소가 있었고, 1999년 말 현재 한국 이용사회에 등록된 업소는 약 2만 7000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