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앙기 ()

목차
관련 정보
이앙기
이앙기
산업
물품
못자리나 육묘상자에서 자란 모를 논에 옮겨 심는 기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못자리나 육묘상자에서 자란 모를 논에 옮겨 심는 기계.
내용

재래의 이앙방법은 약 45일 이상 못자리에서 기른 성묘를 손으로 쪄서 본답에 손으로 옮겨 심었다. 이앙기에 의한 이앙을 하려면 우선 이앙기에 알맞은 모를 육성하여야 한다. 이앙기용 모는 일정규격의 상자에 상토를 깔고, 그 위에 파종과 복토를 한 다음 일정기간 동안 상자에서 기른다. 상자에서의 모 생육기간은 보통 어린 모가 15∼20일, 중성모가 25∼35일 정도이다.

이앙기는 모의 크기에 따라 어린 모는 일찍 심어야 하기 때문에 병해를 받을 우려가 있어, 우리 나라에서는 주로 중성모가 사용되고 있다.

상자묘를 사용하는 이앙기는 육묘법에 따라 줄모용·매트모용·틀모용으로 구분되고, 이앙 조수(條數)에 따라 2조용·4조용·6조용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주행부에 따라 차륜형·플로트형이 있으나, 현재 플로트형은 차륜형과 함께 장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동력원에 따라 인력용·동력용으로 구분되나, 현재 인력용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앙기는 모두 동력용이며, 2조용·4조용·6조용의 매트모와 틀모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2조·4조 이앙기는 보행용이고 6조 이상은 승용이 많다.

이앙기의 구조는 사용하는 모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는 하나, 대체로 플로트·식부장치·엔진·모탑재대·주행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로트는 무논에서 기계가 작용할 때, 심는 깊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받치는 기능을 하며, 식부장치는 모를 적당한 포기로 나누어 땅에 옮겨 심는 역할을 한다.

조간(條間)거리는 보통 30㎝로 고정되어 있고, 주간(株間)거리는 소요되는 평당 포기수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인력에 의존한 재래의 이앙작업이 대부분을 차지하던 우리 나라에서는, 봄철 농촌노동력의 부족을 극복하기 위하여 1970년대 후반부터 이앙기의 보급이 크게 진전되기 시작하였다. 이로 인하여 이앙시기에 많은 노동력을 동력으로 대체시킬 수 있게 되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