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상 ()

현대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어촌」 · 「젊은 교사」 · 「흙의 세례」 등을 저술한 소설가. 언론인 · 친일반민족행위자.
이칭
이칭
성해(星海)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5년(고종 32) 5월 12일
사망 연도
1935년 4월 19일
출생지
전라북도 전주
정의
일제강점기 「어촌」 · 「젊은 교사」 · 「흙의 세례」 등을 저술한 소설가. 언론인 · 친일반민족행위자.
개설

출신지는 전라북도 전주이고, 호는 성해(星海)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95년 5월 12일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났다. 경성으로 올라와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일본으로 건너가 1922년 일본(니혼)대학 사회과를 졸업하였다. 일본에서 유학중이던 1920년 8월 전주 출신 일본유학생모임 서조회(曙潮會)를 조직하였고, 서조회가 주최하는 강연회에 참가하였으며 같은 해인 1920년 『호남신문』 사회부장으로 활동하였다. 1921년 5월 『개벽』에 「예술적 양심을 결여한 우리 문단」을 발표하며 문필활동을 시작하였으며, 8월 동경학우회 강연단의 일원으로 함경북도에서 강연하였다. 1923년 『백조』의 동인 김기진(金基鎭)·박영희(朴英熙) 등과 현실극복을 위한 ‘힘의 문학’을 주장하면서 파스큘라(PASKYULA)라는 문학단체를 만들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저항 의식을 내세우는 신경향파 문학의 중심인물로 활동하였다.

1924년부터 『조선일보』 학예부장을 지냈다. 1925년 파스큘라 동인들과 함께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KAPF)의 발기인으로 참여하고 1926년 1월 KAPF의 기관지 『문예운동』을 창간하는 데 앞장섰다. 1927년 1월 문인들과 함께 문예가협회를 조직하고 원고료제정운동을 벌였다. 이무렵 대부분의 작품을 잡지 『생장(生長)』·『조선문단』·『개벽』 등에 발표하였으며, 「어촌」·「젊은 교사」·「흙의 세례」·「길 잃은 범선(帆船)」·「짓밟힌 진주」·「쫓기어가는 사람들」·「광란」 등의 단편소설이 대표적이다. 1926년에는 단편집 『흙의 세례』(문예운동사)를 간행하였다. 사회주의에 대한 지향성을 나타내고는 있으나 사회주의자로서 뚜렷한 활동을 하지 않았고, 작품 내용도 신경향파 작품과 거리를 유지하고 있어 이상적 사회주의를 지향하였다고 평가된다.

1927년 12월 신문사 학예부 기자였던 김기진(金基鎭)·안석주(安碩柱) 등과 함께 영화연구회 찬영회(讚映會)를 조직하였다.1928년 3월 동아일보 학예부장으로 자리를 옮겼고, 1929년 5월 동양영화주식회사 발기인과 11월 조선어사전편찬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30년 2월 동아일보사를 사직하고 조선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에 사사(司事)로 채용되어 편집국장(대리)이 되었다. 이후 1935년 사망할 때까지 『매일신보』 편집국장과 학예 부문 사무를 관장하면서 조선총독부의 식민통치정책을 선전하는 데 앞장섰다. 편집국장(대리)로 재임하면서 1931년 『매일신보』가 주최하고 경성상공협회가 후원하는 상공행진대회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었고, 1933년 9월 13일 경성부가 용산공립보통학교에서 주최하는 ‘부녀자 교화운동’에 연사로 참여하여 ‘도시에 재(在)한 경제갱생’이라는 연제로 조선총독부의 자력갱생정책을 선전하였다.

1933년 8월 24일부터 9월 28일까지 『매일신보』에 「만주기행」이라는 제목으로 21편의 글을 연재하였는데, 일제의 침략정책과 만주국 건설을 정당화하고 찬양하는 내용이었다. 「만주기행」 연재 중 대표적으로 「여순(旅順) 요새전 축소도: 전리품 기념관」, 「기억조차 새로운 북대영(北大營) 전적(戰跡)」, 「건설도중의 국도(國都) 신경(新京)」, 「백만도성(都城)은 언제나 되나」, 「감격의 도시 하얼빈」, 「동양제일의 대련(大連)부두」, 「명불허전의 호화도시」, 「감개무량한 여순(旅順)전적(戰跡)」 등을 통해 일본제국주의 식민통치에 적극적으로 협력하였다. 1935년 4월 19일 동맥경화증이 악화되어 사망하였다.

참고문헌

『동아일보』(1929.11.2; 1935.4.20)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보고서』 Ⅳ-13(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현대문화사, 2009)
『친일인명사전』 3(민족문제연구소, 2009)
『한국현대문학대사전』(권영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집필자
이은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