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선의 모역 ()

근대사
사건
1881년(고종 18) 안기영(安驥永) · 권정호(權鼎鎬) 등이 고종을 몰아내고 고종의 이복형인 흥선대원군의 서장자(庶長子) 이재선을 추대하려다 실패한 사건.
이칭
이칭
안기영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881년(고종 18) 안기영(安驥永) · 권정호(權鼎鎬) 등이 고종을 몰아내고 고종의 이복형인 흥선대원군의 서장자(庶長子) 이재선을 추대하려다 실패한 사건.
역사적 배경

안기영사건이라고도 한다.

흥선대원군을 하야시키고 집권한 민씨척족정권은 개항과 더불어 개화시책을 서둘렀다. 그런데 무분별한 국고 낭비, 악화되는 관기 문란, 대외개방의 혼선 등이 발생하면서 유림세력의 불만을 샀다.

마침내 황준헌(黃遵憲)의 『조선책략(朝鮮策略)』이 국내에 반포되면서 유생들의 격렬한 척사위정상소가 계속 이어졌다. 이른바 신사척사상소운동이 격화되면서 민씨정권이 곤경에 처하자, 승지 안기영은 권정호와 함께 국왕폐립의 음모를 꾸몄다.

이들은 별군직(別軍職)의 한직으로 물러나 불평을 품고 있던 이재선을 추대하고 위정척사세력과 손잡아 민씨척족정권을 타도하고 대원군을 재기시켜 권섭하려고 하였다.

경과와 결과

강달선(姜達善 : 嶺南儒疏 관계자)·이두영(李斗榮)·이종학(李鐘學)·이철구(李哲九) 등을 앞세워 동지를 규합하는 한편,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며 왜구 토벌을 빙자하여 군정(軍丁)을 모집하고 군기를 모으려 하였다.

명목상 왜구 토벌을 내세운 것은 민심에 영합하고 척사세력의 지지를 얻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모병과 군기의 입수가 여의치 않자, 9월 13일 경기도 감시(監試)에 모여든 과유(科儒)들을 대원군의 이름으로 위정척사를 선동하여 이들을 3대(隊)로 나누어 왕궁을 습격, 국왕폐립을 단행하려는 정변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거사는 준비미비로 계획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계획 실패를 예측한 대원군이 강달선·이두영·이종학 등을 다른 죄로 형조에 고발, 유배시켜 음모에 연루됨을 피하는 한편, 음모 자체를 없었던 것으로 돌리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9월 20일 음모에 참여하였던 광주산성장교(廣州山城將校) 이풍래(李豐來)가 포도청에 고변하여, 일당 30여 명이 체포되어 국문 끝에 안기영·권정호·강달선·이두영·이종학·이철구·이종해(李鐘海)·이연응(李然應) 등은 사형되고 이재선은 제주도에 유배되었다가 사사되었다. 민씨척족정권은 사건을 격렬한 척사상소운동을 잠재우는데 최대한 역이용하여, 유림의 거소항쟁(擧疏抗爭)에 타격을 가하고 흥선대원군의 재기를 막을 수 있었다.

참고문헌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일성록(日省錄)』
「신사대역부도죄인기영등국안(辛巳大逆不道罪人驥永等鞠案)」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