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두 ()

국방
인물
일제강점기 육군 참장, 일본군 육군 소장 등을 역임한 군인. 체육인 · 친일반민족행위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9년(고종 6) 6월 8일
사망 연도
1925년 6월 21일
본관
전의(全義)
출생지
서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육군 참장, 일본군 육군 소장 등을 역임한 군인. 체육인 · 친일반민족행위자.
개설

본관은 전의(全義)이고, 출생지는 서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69년 6월 8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1895년 10월 사관후보생을 양성하기 위한 일본 동경(도꾜) 성성(세이죠)학교에 입학해 1896년 1월에 졸업하였다. 졸업 후 바로 일본육군사관학교에 입교해 1897년 7월 제8기 특별과정을 수료하였다. 수료 직후 육군 시산(도야마)학교에 입학해 전술과와 사격과를 익히고 1898년 10월 졸업하였다. 재학중이던 1898년 8월 대한제국 육군 부위(副尉)에 임명되었다. 도야마학교 졸업 직후 1898년 11월 동경 마포(아자부) 보병 제3연대에서 견습사관으로 복무하면서 일본국 대연습을 참관하고 일본 정부로부터 훈6등 서보장(瑞寶章)을 받았다. 귀국 후 1899년 8월 육군무관학교 교관으로 발령받았고, 10월 육군 정위(正尉)로 승진하였다. 1900년 육군 참령으로 승진하고 무관학교 학도대장으로 임명되었다. 1901년 11월과 1902년 11월 일본국 대연습을 참관하고 일본 정부로부터 훈4등 서보장, 훈4등 욱일장(旭日章)을 각각 받았다.

1904년 2월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4월 일본군대 접대위원장을 맡아 일본군에게 숙영지 등 제반편익을 제공하는 등 전쟁에 협력하였고, 8월 군제의정관(軍制議定官)에 임명되었으며, 9월 육군 부령(副領)으로 진급해 육군연성학교 교장에 임명되었다. 1905년 4월 육군보병 정령(正領)으로 승진하였고, 6월 1일 시종원부경 칙임관 4등에 임명되었고, 6월 6일 군부대신 관방장 겸 육군연성학교 교장을 맡았고, 12월 소장급의 육군 참장(參長)으로 진급하면서 군부협판 겸 육군연성학교 교장으로 봉직하였다. 1906년 면화(綿花)재배협회 평의원과 10월 대동구락부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1904년 5월 훈4등 팔괘장(八卦章), 1905년 10월 24일 훈3등 팔괘장, 1906년 4월 훈2등 팔괘장을 받았다.

1907년 1월 군인구락부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6월 군부 군무국장으로 보임되었으나, 7월 징계를 받아 육군 참장에서 면관되었다가 8월 다시 참장에 임명되었다. 9월 군대해산 이후 군부 부(附)로 배속되어 근무하였다. 1908년 6월 육군무관학교장에 보임되었고 9월 학무국장 윤치오(尹致旿)와 함께 무도기계체육부(武徒器械體育部)라는 우리나라 최초의 기계체조단체를 조직하여 기계체조 보급과 발전에 기여하였다. 1908년 11월 훈2등 서보장을 받았다. 1909년 7월 통감부가 군인과 군속(軍屬)을 관장하기 위한 설치한 친위부(親衛府) 무관에 임명되었고 11월 대한흥업회사 특별찬성원으로 활동하였다.

한일합병 후 1910년 8월 육군참장으로 이왕궁(李王宮) 수비와 의장(儀仗)을 맡은 조선보병대에 배속되었다. 1911년 4월 일본 정부로부터 연봉 2,500원을 받았고, 1912년 8월 한국병합기념장을 받았다. 1915년 1월 개성에서 야외전술 현지강화(野外戰術現地講話)에 참장 조성근(趙性根)과 함께 참석하였고, 8월 조선총독부 시정 5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 경성협찬회 정회원으로 기부금을 냈다. 1915년 대정(다이쇼) 천황 즉위기념 대례기념장을 받았다. 1919년 3월 고종의 국장(國葬) 때 구측배종장교(柩側陪從將校)를 담당하였고, 10월 경성호텔에서 열린 이등박문(이토 히로부미) 사망 10년제에 부장(副將) 조동윤(趙東潤)과 함께 참석하였다.

1920년 4월 구한국 장교를 일본군 장교로 전환한다는 칙령에 따라 일본 육군 소장에 임명되어 일제 조선군사령부로 배속되었고, 정5위로 서위되었으며, 훈2등 욱일중광장(旭日重光章)을 받았다. 5월 용산주둔 조선군사령부에서 열린 조선군 관하 단대장 회의에 중장 조동윤, 이병무(李秉武), 소장 조성근과 함께 참석하였다. 1925년 6월 21일 사망하였다.

참고문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보고서』 Ⅳ-14(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현대문화사, 2009)
『친일인명사전』 3(민족문제연구소, 2009)
『체육한국인』(체육부, 1985)
『한국체육사연구』(나현성, 교학연구사, 1981)
집필자
이은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