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동 석불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일산동 석불좌상 우측 불좌상
일산동 석불좌상 우측 불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강원도 원주시 일산동에 있는 통일신라 말 고려 초기의 불상.
이칭
이칭
원주일산동석불좌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일산동석불좌상(一山洞石佛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강원특별자치도
종목
강원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1년 12월 16일 지정)
소재지
강원 원주시 봉산로 134, 원주시립박물관 (봉산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도 원주시 일산동에 있는 통일신라 말 고려 초기의 불상.
내용

2구. 각각의 전체 높이 약 2.15m. 1971년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원래 원주시 중앙동 폐사지(廢寺址)에 있던 것을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인들이 남산 추월대로 옮겨 놓았다. 그 뒤 1962년 5월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일산동 5층석탑을 중심으로 좌우에 1구씩 옮겨 놓았다.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는 2구 모두 잃었다. 불두(佛頭) 역시 2구 모두 현재의 자리로 옮길 때 새로 조성한 것이다.

2구의 불좌상은 불의(佛衣)의 옷주름과 상대(上臺)의 연꽃무늬 등 몇 곳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적당한 넓이의 어깨에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의 불의가 걸쳐져 있다. 두께가 비교적 얇아 신체의 양감(量感)이 잘 드러난다.

옷주름은 2구 모두 유려한데 그중 좌측[向左] 불좌상의 경우에는 도식화가 엿보인다. 2구 모두 배 부근의 띠 매듭이 뚜렷하다. 결가부좌(結跏趺坐)한 다리는 양감 있게 조각되었다. 그리고 양 무릎의 폭이 넓어 전체적으로 안정감 있다.

양손은 파손이 심하여 세부의 형태를 알 수 없다. 하지만 양손 모두 가슴 부위로 모아 오른손을 약간 위로 왼손을 약간 아래로 두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비로자나불의 지권인(智拳印 : 왼손 집게손가락을 뻗치어 세우고 오른손으로 그 첫째 마디를 쥔 손 모양)을 맺고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대좌는 전형적인 8각연화대좌(八角蓮華臺座)이다. 손상된 부분이 거의 없으며 각 부분의 조각이 선명하게 남아있다. 상대에는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이 2단에 걸쳐 조각되어 있다.

연꽃잎마다 꽃무늬가 있다. 중대에는 우주(隅柱 : 모서리 기둥)와 우주 사이에 갖가지 조각을, 하대에는 큼직한 8개의 복련(覆蓮 : 아래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이 새겨져 있다.

이 2구의 석불좌상은 불신(佛身)의 신체 비례가 좋고 대좌를 포함한 각 부분의 조각이 화려한 당대의 수작(秀作)이라 할 수 있겠다. 현재 얼굴의 모습을 전혀 알 수 없어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불의 주름이 형식화되었고, 상대의 연꽃잎 내에 꽃무늬 모양이라든지, 중대의 우주 사이의 다양한 조식(彫飾 : 잘 다듬어 꾸밈) 등으로 미루어 나말여초(羅末麗初)에 제작된 것으로 짐작된다.

참고문헌

『강원도문화재대관-강원도지정편-』(강원도, 199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