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권 2책. 석인본. 1936년 아들 인상(寅尙)이 편집, 간행하였고, 1972년 손자 조헌(祖憲)이 중간하였다. 권두에 김윤동(金潤東)의 중간서와 박준구(朴準龜)·박창현(朴昌鉉)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족손 만헌(萬憲)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3에 시 723수, 권4에 교서(敎書) 2편, 서(書) 2편, 서(序) 1편, 기(記) 3편, 송(頌) 1편, 설(說) 5편, 제문 1편, 잡저 8편, 권5에 부록으로 수첩시(壽帖詩)·회근시(回卺詩)·회혼도찬(回婚圖贊)·만사·제일옥고벽(題一玉古壁)·영모록서(永慕錄序)·영모록발(永慕錄跋)·일옥호서(一玉號序)·만송헌기(晩松軒記)·도장재기(道莊齋記)·제문·행장·묘갈명·첨망헌기(瞻望軒記)·기적비문(紀蹟碑文)·기적비찬문(紀績碑贊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설에는 「충서설(忠恕說)」·「의리설(義利說)」·「장곡설(藏穀說)」·「벽송설(碧松說)」·「석류설(石榴說)」이 있다. 「벽송설」은 소나무를 군자의 절개에 비교, 논술한 글이다.
잡저 중 「잡지(雜識)」는 이기설(理氣說)을 논한 것이며, 「표의(標疑)」는 독서 중에 의심나는 것을 기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