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활자본. 1846년(헌종 12) 5대손 제동(齊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헌주(張憲周)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안치택(安致宅)의 후서와 제동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오언절구·오언사운·칠언절구·칠언사운 등의 시 226수, 잡저 6편, 권2에 부록으로 유사·행록·신도비명·시장(諡狀)·파왜보첩본장(破倭報捷本狀)·보첩발(報捷跋)·청포소(請褒疏)·선무원종일등공신녹권(宣武原從一等功臣錄券)·증직전말(贈職顚末)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개 우국충정을 읊은 것이며, 「국의진맥감음(國醫診脈感吟)」·「노장(老將)」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잡저는 「종국가(種菊歌)」·「생신증아(生辰贈兒)」·「비은정기(費隱亭記)」·「가묘입의(家廟立議)」 등이다. 부록은 저자의 행적을 알 수 있는 자료들이다.
이 책은 시문집으로서보다는 사료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