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최수 ()

유교
인물
개항기 때, 선공감역, 시종원시종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수길(壽吉)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53년(철종 4)
사망 연도
1895년(고종 32)
본관
나주(羅州)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선공감역|시종원시종
관련 사건
을미사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개항기 때, 선공감역, 시종원시종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사원(士元), 호는 동양(桐陽). 아버지는 임익진(林翊鎭)이며, 어머니는 파평윤씨(坡平尹氏) 윤용진(尹用鎭)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91년(고종 28) 첫 벼슬로 선공감역(繕工監役)이 되었고, 1895년 시종원시종(侍從院侍從)에 제수되었다.

어려서부터 성질이 곧아 남에게 굴하기 싫어하였고, 애국심이 투철했다. 철저한 보수적인 사상을 지녀 개화를 통렬히 배척하였다. 1894년 동학란이 나자 왕명을 받들고 평양에 가서 청진(淸陣)을 밀탐하고는 청군이 패할 것을 알고 삼남(三南)으로 내려가 의병을 모집하려 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1895년 8월에 일본인들이 명성황후(明成皇后)를 시해하고, 개화파 내각에서는 민비를 폐하자 임최수는 이를 분개하여 개화파 정부요인들을 제거하고자 참령(參領) 이도철(李道澈)과 함께 시위대(侍衛隊)의 병사와 응모한 의사들을 거느리고 동년 10월 11일 궐 내에 쳐들어갔으나 이진호(李軫鎬)의 배반으로 패하여 11월 15일 사형을 당하였다. 이듬 해 특명으로 복관되고, 충민(忠愍)이란 시호가 내렸다. 저서로는 『동양유고(桐陽遺稿)』 1책이 있다.

참고문헌

『동양유고(桐陽遺稿)』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