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도사 ()

고전시가
작품
조선 중기에 조우인(曺友仁)이 지은 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조우인(曺友仁)이 지은 가사.
구성 및 형식

모두 182구. 3·4조가 주류이나 2·3조 내지 2·2조도 있다. 작자의 가사집 『이재영언(頤齋詠言)』과 『간례(簡禮)』에 실려 있다.

임금에게 버림을 받아 억울하게 감옥살이를 하는 신하의 애절한 심정을 남녀관계에 의탁하여 읊은 가사로, 작자가 광해군 때 시화(詩禍)를 입어 3년간 감옥살이를 하면서 지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제작연대는 1621년(광해군 13)∼1623년경으로 추정된다.

내용

내용은 작자가 광해군 때 처음 벼슬한 일, 함경도 경성판관으로 내려간 일, 다시 내직으로 들어왔다가 무고를 입어 감옥살이를 하기까지의 일들을 한 선녀와 옥황상제의 관계에 비유하여 암시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서두에서 “임 향ᄒᆞᆫ 일편단심(一片丹心) 하ᄂᆞᆯ○ ᄐᆞ나시니 삼생결연(三生結緣)이오 지은 마음 안녀이다.”라 하여 임에 대한 나의 사랑은 숙명적임을 강조한 뒤, 버림받았을 때나 감옥의 고통 속에서도 이 사랑은 조금도 변함이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자도사’란 스스로를 애도한다는 뜻으로 볼 때, 감옥에서 죽을 것을 예상하고 쓴 작품으로 보인다.

그래서 지난날의 처세를 회고하고 후회하면서, 마지막으로 죽은 후에라도 결백과 충정을 증명하려 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저자의 작품 중 우수한 것으로 정철의 「사미인곡」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나, 옥중생활의 체험이 실감 있게 표현되어 독자적 경지를 보여준다.

참고문헌

「조우인의 가사집-이재영언-」(김영만, 『어문학』 10, 한국어문학회, 1963)
「매호별곡(梅湖別曲)과 자도사(自悼詞)」(고경식, 『자유문학』 49, 196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