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집 ()

잠재집
잠재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정재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재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1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71년 정재응의 5대손 정승택(鄭乘澤)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말에 정승택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7권 3책. 석인본. 국립중앙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권1·2에 시 276수, 권3∼5에 소(疏) 3편, 서(書) 135편, 잡저 26편, 권6에 서(序) 2편, 기(記) 5편, 제발(題跋) 30편, 명(銘) 1편, 상량문 2편, 혼서(婚書) 2편, 제문 13편, 애사 1편, 행록 1편, 묘지 3편, 권7에 부록으로 서쌍계기후(書雙溪記後)·가장(家狀) 각 1편, 제문 23편, 만사 14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 가운데 「청문순공권상하문묘종사소(請文純公權尙夏文廟從祀疏)」는 권상하는 송시열(宋時烈)의 수제자로서 이이(李珥)의 적통을 이어받았다고 높이 칭찬하면서, 권상하가 학계에 남긴 업적과 나라에 이바지한 공로를 들어 문묘에 종사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한 것이다.

서(書)는 주로 스승 및 친구 사이에 학문과 시사를 논한 것이 많은데, 그 중에도 스승인 송환기(宋煥箕)와는 상례(喪禮)에 관한 질의, 송치규(宋穉圭)와는 『중용』·『대학』에 대한 논변과 『주역』에 대한 의견 교환이 많다. 성리학에 대해서도 언급되어 있는데 주로 한원진(韓元震)의 학설에 치중하고 있다.

「성담송선생어록(性潭宋先生語錄)」은 송환기(宋煥箕)가 일상생활에서 제자나 자질들에게 지시하고 교육한 내용과 일반 인사들과 대화한 내용을 간추려서 적은 것이다. 수신·제가·접빈객·봉제사 등에 대한 금언집(金言集)이라 할 수 있다. 「견우인성본연기질변(犬牛人性本然氣質辨)」은 당시 학자들 사이에 논쟁의 대상이 되었던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의 논변이다. 개와 소의 성질은 본연적으로 사람과는 다른 것이므로 동일하게 볼 수 없다는 주장이다.

이 밖에도 시골의 관아에서 국상에 대한 성복의 의식을 행해도 좋다고 주장한 「현정성복의변(縣庭成服儀辨)」, 『주역』의 원리를 설명한 「도설구해변(圖說句解辨)」·「전십괘후십괘변설(前十卦後十卦辨說)」, 상례의 복제에 대한 논변인 「사상복제설(師喪服制說)」·「처상연변설(妻喪練變說)」·「동자복제설(童子服制說)」, 전정(田政)에 대하여 의견을 밝힌 「양전론(量田論)」 등이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