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봉공 ()

목차
사회구조
개념
각종 직물 및 모피로 만드는 제품을 손 또는 기계로 깁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기술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각종 직물 및 모피로 만드는 제품을 손 또는 기계로 깁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기술자.
내용

재봉공의 구체적인 직능은 다음과 같다.

① 각종 직물류의 제품을 만들고 개조하고 수선하는 과정중에 손이나 미싱으로 깁는다. ② 의복과 장갑 등을 만들고 수선하는 과정중에 가죽부분품을 손으로 깁는다.

③ 모피제 의복 및 기타 제품을 만들고 개조하고 수선하고 재생하는 과정에서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재봉업무를 한다. ④ 표준형 혹은 특수형 단침 또는 다침재봉기를 조작한다. ⑤ 의복, 기타 재료에 기계로 장식디자인을 자수한다. ⑥ 기타 재봉과 자수업무를 수행한다.

재봉공의 역사는 인류가 옷을 만들어 입는 시대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으나, 양복공·양장공과 같이 의복의 재단에서 완성에 이르기까지 통합하여 직능이 수행되었다.

재봉공이라는 전문적 직종이 나타난 것은 기성복이 대량생산 형태로 공장에서 생산된 후부터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근대화 이전 궁중에서 왕족이나 궁중 근무자의 조복이나 관복을 만드는 특별한 직책이 있었으나 이 역시 재봉업무가 분업화된 것은 아니었다. 우리나라에 전문적인 재봉공이 등장한 것은 1870년대 메리야스공장이 들어선 때부터로 전해오고 있다.

오늘날 재봉공의 존재형태는 소규모 양복점이나 양장점에서부터 대규모 봉제공장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존재한다.

재봉공의 기능을 습득하는 과정은 특별한 훈련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업소 또는 공장에 채용되어 일정한 양성훈련을 거친 뒤 재봉공의 위치에 서게 된다.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기능사 자격은 편물과 자수·인형제조 분야에 일부 주어지고 있다.

재봉공은 적당한 온도와 습도·조명을 갖춘 실내에서 작업하여야 하나 각종 섬유류를 절단하고 깁는 과정에서 먼지가 발생하며, 바닥에는 천조각 등이 널려 청결하지 못 한 작업장에서 작업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재봉공의 작업장에 환기시설은 필수적이다. 재봉공의 작업장은 또한 재봉기 작동에 따른 소음으로 소란하나 대부분의 작업장에서는 특별한 소음방지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

재봉공이 주로 종사하는 봉제업체는 대개 중·소·영세 규모의 하청업체로서 납기를 맞추기 위하여 연장근로·야간근로가 일반화되어 있다. 장시간 작업할 경우 재봉공은 눈·어깨·팔 등에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그에 따라 재봉침에 손가락을 찔리는 수가 종종 있어서 안전대책이 요구된다.

재봉공은 현재 양복기능사 자격시험 응시자격에 학력제한이 없으며 주로 숙련 봉제공을 보조하면서 기능을 습득한다. 교육 훈련기관으로는 사업 내 직업전문학교나 사설 학원의 봉제, 일반봉제, 메리야스봉제, 신발봉제, 피혁봉제 훈련과정이 있으며 자격·면허로는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양복기능사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직업사전』(노동부 중앙고용정보관리소, 1999)
『직업의 세계』(노동부 국립중앙직업안정소,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