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사당일집 ()

목차
관련 정보
재사당일집
재사당일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이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이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39년 후손 종호(鍾浩)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준필(宋浚弼)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태진(金泰鎭)과 후손 규하(圭廈)·종호·용우(用雨)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시 24수, 부(賦)·계(啓)·공사(供辭)·잡저·기(記) 각 1편, 권2는 부록으로 행록·묘갈명·묘지명·적거유허비(謫居遺墟碑)·입명비중수사실(立命碑重修事實)·유사·영강서원봉안문(榮江書院奉安文)·상향축문·수갈시고묘문(竪碣時告墓文)·수갈고유문·수갈기(竪碣記)·경서선조수서점필재선생시의후(敬書先祖手書佔畢齋先生諡議後)·증유(贈遺)·사실척록(事實摭錄)·유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는 갑자사화 때 참형을 당하여 유고가 대부분 산일되었다고 한다. 계인 「점필재김선생의시계(佔畢齋金先生議諡啓)」는 1493년(성종 24) 봉상시(奉常寺)에 재직할 때 올린 글로, 김종직(金宗直)에게 문충(文忠)이라는 시호를 주자고 건의한 내용이며, 공사는 무오사화 때 피체되어 진술한 「무오피국공사(戊午被鞠供辭)」이다.

잡저 1편은 금강산을 유람한 기록이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