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흠 ()

유교
인물
조선후기 『육오당일기』, 『황여고실』 등을 저술한 학자. 화가.
이칭
선숙(善叔)
육오당(六吾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20년(광해군 12)
사망 연도
1678년(숙종 4)
본관
하동(河東)
출생지
미상
정의
조선후기 『육오당일기』, 『황여고실』 등을 저술한 학자. 화가.
개설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선숙(善叔), 호는 육오당(六吾堂). 영의정 정인지(鄭麟趾)의 후손으로, 정언 정응두(鄭應斗)의 손자이고, 정이직(鄭以直)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태학생 이영례(李榮禮)의 딸이다. 부사 정이중(鄭以重)의 양자가 되었다. 송시열(宋時烈)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운 서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50년(효종 1)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으나, 친아버지와 양아버지의 상을 연이어 당하였다. 1676년(숙종 2) 양아버지의 상을 치른 뒤 벼슬할 뜻을 버리고 보은에 우거하였다.

더욱이, 남인이 집권한 뒤에는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말년에는 『주역』에 심취하였고, 지행(知行)이 있다는 칭송을 들었다. 당시 권세를 장악한 사람들이 정경흠을 끌어들이려고 여러 차례 사람을 보내어 시험하였으나 응하지 않았다.

예론(禮論)에 밝아서, 종실이면서 친척인 자가 시험삼아 기해복제(己亥服制)에 대하여 묻자, 조목조목 비판하여 그를 성나게 한 일로 유명하다. 서화에 뛰어났는데, 특히 인물·난초·포도·매화·대나무 등을 잘 그렸다.

제가의 지지·지도 등을 참고하여 『황여도(皇輿圖)』·『동여도(東輿圖)』를 편찬하였다고 하는데, 현재 『황여고실(皇輿攷實)』이 전한다. 아들 정유복(鄭維復)·정유점(鄭維漸)은 포도를, 유승(維升)은 인물을 잘 그린 것으로 유명하다. 저서로는 『육오당일기(六吾堂日記)』가 있다.

참고문헌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
『숙종실록(肅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진단인물(震旦人物)』
집필자
정선남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