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곡사 ()

목차
관련 정보
은율 정곡사 대웅전 측면
은율 정곡사 대웅전 측면
불교
유적
북한 황해남도 은율군 구월산(九月山)에 있었던 고려후기 이전에 창건된 사찰.
이칭
이칭
정곡사(亭谷寺), 정곡사(停穀寺)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남도 은율군 구월산(九月山)에 있었던 고려후기 이전에 창건된 사찰.
내용

‘정곡사(亭谷寺)’ 또는 ‘정곡사(停穀寺)’라고도 한다. 일제강점기 31본산이 지정된 때에는 패엽사(貝葉寺)의 말사였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고려 말 이전에 창건되었으며, 사찰명은 고려 말에 노국공주(魯國公主)를 모시고 왔던 원나라의 주태사(周太史)가 이곳에서 수레를 멈춘 데서 기인한다는 설과 고려의 어느 왕이 이곳의 산수풍경을 사랑하여 오랫동안 수레를 멈추고 구경한 데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다. 조선 세종 때에는 교종(敎宗)에 속하였으며, 상주하였던 승려는 70명이고 소속 전결(田結)은 150결로서 당시의 사찰로는 매우 큰 규모에 속하였다. 또한 정조 때인 1797년(정조 21) 7월 21일과 22일의 큰 비로 정곡사의 건물 78칸이 무너졌다고 하니 조선 초기 절의 규모가 조선 후기까지도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청풍루(淸風樓)·영당(影堂)·요사채 등이 있다. 대웅전은 조선 초기의 건물로서 규모가 웅장하며, 내부에는 석가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또, 대웅전 앞의 불두화(佛頭花)도 유명하다. 대웅전 옆에 있는 영당은 주태사의 화상을 봉안해둔 곳으로, 노국공주와 함께 원나라로 갔다가 돌아오면서 이 절에 화상(畵像)을 두었다고 한다. 그 뒤 절 밑 주촌(周村)에 살고 있던 그의 후손들이 1747년(영조 23)에 영정을 새로 그려 모셨는데, 원래의 화상은 그 후면에 붙여두었다고 한다.

부속 암자로는 선림암(禪林庵)·길상암(吉祥庵) 등이 있었다고 하나 현존하지 않는다. 절 주위에는 고려 말의 태사(太史) 네 사람이 신선처럼 놀았다는 사선대(四仙臺)를 비롯하여, 용이 살고 있다는 용연(龍淵)과 용연폭포가 있는데, 가뭄이 있을 때마다 용연에서 기우제를 올렸다고 한다. 그 밖에 절 부근에서 나는 잣과 송이는 도내의 명산물로 손꼽힌다.

참고문헌

『일성록(日省錄)』
『은율군지』(은율군, 1975)
『황해도지』(황해도, 197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