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은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이성원의 시 · 제문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성원의 시 · 제문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2권 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연대는 미상이다. 권상은 시 143수, 권하는 제문 28편, 잡저 3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시에는 서정이 강하게 깔린 「아제(兒啼)」·「인옹(隣翁)」·「삼일포주중(三日浦舟中)」, 과작(課作)인 「추풍회심(秋風悔心)」·「차남산시(次南山詩)」, 응제시(應製詩)인 「망팔재림권학사(望八再臨卷學士)」·「희우관덕잉축유년(喜雨觀德仍祝有年)」, 만시(輓詩)인 「문효세자만장(文孝世子挽章)」·「의빈성씨만장(宜嬪成氏挽章)」·「현륭원만장(顯隆園挽章)」 등 다양하고 특색있는 작품들이 고루 실려 있다.

제문에는 이이장(李彛章)·이익보(李益輔) 등에 대하여 쓴 것과 경상감사로 재직할 때 쓴 기우제문, 해신(海神)을 제사하는 글 등이 있다. 그 밖에 아들의 죽음을 슬퍼하는 아버지의 지극한 정이 숨김 없이 묘사된 5편의 「제망아한림문(祭亡兒翰林文)」이 있다.

잡저에는 친구 이명겸(李鳴謙)의 아내 김씨(金氏)에 대한 기록의 취지를 설명한 「서안원외소시김열부전후(書安員外所示金烈婦傳後)」와 외할아버지 유진호(柳震虎)에 대한 묘표 등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