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목판본. 1909년 후손 순우(淳愚)·남숙(南璹) 등이 간행한 『원고세고(元皐世稿)』에 실려 있다. 『원고세고』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시 71수, 서(書) 8편, 잡저·축문·묘지 각 2편, 부록으로 가장, 행록, 묘갈명, 묘지명, 족한당중건운(足閒堂重建韻)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사물에 자신의 감정을 투영시켜 묘사한 「영국(詠菊)」·「영죽(詠竹)」·「영옥매(詠玉梅)」 등, 박가운(朴駕雲)·남국준(南國俊)·오극성(吳克成)·박세현(朴世賢) 등이 임진왜란 때 참전하는 것을 격려하는 내용의 시 등이 있다. 그 밖에 황여일(黃汝一)·정경세(鄭經世)·장희도(張希道)·신철(申澈) 등을 대상으로 지은 증여시 등이 있다.
서(書)에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에 참가한 사종제(四從弟) 현룡(見龍)과 외아들 민수(民秀)에게 보낸 글이 있다. 죽을 각오로 적과 용감하게 싸울 것을 당부하고 한편으로 그들의 지휘관이었던 곽재우(郭再祐)를 격려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김성일(金誠一)에게 형의 죽음을 위로하는 내용으로 된 「여김사순(與金士純)」, 1574년(선조 7) 진안교관(鎭安敎官)으로 재직할 때 남치리(南致利)에게 고을의 교육 풍토 개선을 위한 대책을 상의하는 내용으로 보낸 「여남의중(與南義仲)」 등이 있다.
잡저에는 역시 교육 풍토의 쇄신을 당부하는 내용의 「유시진잠교원제생문(諭示鎭岑校院諸生文)」이 있다. 「초혼사(招魂辭)」는 임진왜란 초기에 장렬하게 최후를 마친 동래 부사 송상현(宋象賢)을 대상으로 지은 것이다.
부록에는 사종제 현룡과 외후손 조술도(趙述道)를 비롯, 허훈(許薰)·이만도(李晩燾) 등이 쓴 저자의 행적과 남두양(南斗陽)·김두운(金斗運)·박진유(朴鎭維) 등이 지은 시 「족한당중건운」 등 다수가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