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오당유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허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허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37년에 7대손 준(浚)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동진(金東鎭)의 서문이, 권말에 금동렬(琴東烈)과 준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성균관대학교 존경각에 있다.

권1에 부(賦) 1편, 시 3수, 책(策) 2편, 서(書) 2편, 잡저 1편, 명(銘) 1편, 제문 5편, 권2에 부록으로 행장·묘갈명·유묵·후서(後敍)·지(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모두 풍경시로, 송백(松柏)의 낙락한 기품을 충신의 기백에 비유하고 백성들의 지조가 저 송백의 기상을 본받았으면 하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책 중 「대망자책(對忘字策)」은 무망(無忘)으로 일생의 지표를 삼으라는 내용의 논설이며, 「대지각책(對知覺策)」은 사람이 지각(知覺)이 서야 사리를 바로 분석하고 시비를 옳게 판단한다는 논리를 전개, 당시 정치체제의 허점을 지적하고 임금을 바른 도리로 보필하는 것이 신하로서의 가장 중요한 임무라고 역설한 글이다.

서(書)의 「답혹인별지(答或人別紙)」는 처세에 대한 내용이며, 잡저의 「주자서절요해(朱子書節要解)」에는 각 서신왕래처의 제목만을 열거하였다. 이밖에 「종오당명(從吾堂銘)」은 임금을 바른 길로 인도하고 도탄에 빠진 백성을 구하는 일이 자신의 포부라고 밝힌 글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