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세붕 초상 ( )

목차
관련 정보
주세붕 초상
주세붕 초상
회화
작품
국가유산
조선시대 문신이자 성리학자인 주세붕의 상반신을 그린 초상화.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주세붕 초상(周世鵬 肖像)
분류
유물/일반회화/인물화/초상화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81년 03월 18일 지정)
소재지
경북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40 (내죽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신이자 성리학자인 주세붕의 상반신을 그린 초상화.
내용

198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주세붕은 1543년 풍기군수로 있을 때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뒤의 소수서원)을 세워 성리학을 원나라로부터 들여와 유학을 진흥시켰던 고려시대의 안향(安珦)을 이곳에서 받들게 하였다. 주세붕 자신도 죽은 후에는 소수서원에 배향되었다. 이곳에는 안향의 초상화도 함께 전래되고 있는데, 후대에 주세붕의 초상화도 함께 봉안하여 소수서원을 세운 그의 공적을 기렸던 것으로 보인다.

주세붕 초상화는 오사모(烏紗帽)에 단령(團領)을 입은 관복차림에 화면의 왼편을 향해 살짝 몸을 튼 자세이며, 그림 윗부분 3분의 1정도는 여백으로 처리했다. 어깨 부분을 과장하여 둥그렇게 표현했고 얼굴을 약간 앞으로 내밀고 몸을 움츠린 듯한 모습이다. 이러한 형식은 반신상(半身像) 초상화에서 자주 나타나는 것이다.

오사모는 높이가 낮고 양쪽 날개 부분에는 별다른 문양이 없다. 둥글게 파인 단령 사이로는 속에 받쳐 입은 흰 옷의 깃이 낮게 삐져나와 물결치듯 보인다. 무늬가 없는 관복은 풍성하게 묘사했고 옷주름은 간략하게 처리했다. 얼굴과 옷주름은 굵기의 변화가 없이 일정한 선으로 조심스럽게 그렸다. 뚜렷한 윤곽선을 사용해서 묘사한 커다란 눈과 뭉툭한 코, 큰 귀와 두툼한 입술에 더부룩한 수염이 인물의 개성적인 생김새를 잘 보여준다.

이 그림의 제작연대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전체적인 양식과 색이 많이 바래고, 화면이 훼손된 상태로 미루어 볼 때 상당히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얼굴 표현은 1536년에 그려진 이현보 초상화(보물, 1986년 지정)와 비슷하다. 따라서 주세붕이 살아있을 때 또는 죽은 지 얼마 안 되는 16세기 후반 경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초상화를 기초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전신상(全身像)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호랑이 가죽이 덮인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상반신은 소수서원의 초상화와 거의 동일한 도상을 보여준다.

의의와 평가

현재 남아있는 16세기의 초상화가 대부분 공신상인데 비해 소수서원의 주세붕 초상화는 인물의 개성을 강조한 반신상 초상화로서 희귀하고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초상화』(문화재청, 눌와, 2007)
『한국의 초상화』(조선미, 열화당, 1983)
「주세붕 초상」, 『조선시대 초상화 II』(이혜경, 국립중앙박물관, 2008)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