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와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방명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방명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28년 방명엽의 7세손 방환영(房煥永)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전우(田愚)의 서문, 권말에 최병심(崔秉心)과 8세손 방동규(房東圭) 등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3권 2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된 『방씨삼세합고(房氏三世合稿)』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권1에 시 71수, 권2에 소(疏) 1편, 서(書) 3편, 서(序)·상량문 각 1편, 제문 6편, 유장(遺狀) 2편, 권3에 부(賦) 1편, 논(論) 6편, 표(表) 2편, 책(策) 14편, 부록으로 제문·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노인 문제를 폭넓게 다룬 「위노인작오무시(爲老人作五無詩)」, 교훈적 색채가 강한 「야등독서(夜燈讀書)」, 주변 인물들을 대상으로 지은 증여시(贈與詩)와 만시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소의 「고룡서원청액소(古龍書院請額疏)」는 선조 때의 명신 노진(盧禛)이 제향된 사당의 현판 하사를 청원하는 내용이다.

서(書) 가운데 2편의 「상방백서(上方伯書)」는 영장(營將) 백홍성(白弘聖)의 무례한 행위를 적고, 감사가 조정에 보고해 파직시킬 것을 요청한 것이다. 나머지 1편은 유생 양철견(梁鐵堅)을 속오군(束伍軍)에 편입시킨 처사가 부당함을 지적하며 그 시정을 요청하는 내용이다.

부의 「집작유체(執爵流涕)」는 1646년(인조 24) 진사시에 급제할 당시에 지은 시권(試券)이다. 논(論)에는 인재의 활용 방법, 관개 사업, 국경의 수비 대책 등 국정 전반에 걸쳐 포괄적인 논지를 전개한 「용인(用人)」·「수리(水利)」·「비변(備邊)」 등이 실려 있다.

표에는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분석을 가한 「의당위징청위양신(擬唐魏徵請爲良臣)」·「의송우정언추호청정유현비책례(擬宋右正言鄒浩請停劉賢妃冊禮)」가 있다. 책에는 교육 풍토의 쇄신, 간관(諫官) 제도의 활성화, 신축성 있는 재정 운용 등 다양한 주제로 문제점을 파헤친 「학교(學校)」·「간관(諫官)」·「재용(財用)」·「사전(祀典)」·「경연(經筵)」·「붕당(朋黨)」 등이 실려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