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천재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변치도의 시 · 서(書) · 기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변치도의 시 · 서(書) · 기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필사본. 서문·발문이 없어 편자나 필사 연도는 미상이다.전라남도 장성의 변시연가(邊時淵家)에 소장되어 있으며, 전라남도에서 발행한 『향토문화연구자료(鄕土文化硏究資料)』 제2집에 수록되어 있다.

권1·2에 시 520여 수, 제문 3편, 서(序) 2편, 발(跋) 1편, 서(書) 6편, 기(記)·사(辭) 각 1편, 잡저 4편, 고유문·축문 각 1편, 상량문 2편, 행장 1편, 부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시에는 「술회(述懷)」·「지감(志感)」을 비롯한 폭넓은 소재와 다양한 형식으로 구성된 작품들이 시서(詩序) 및 주변 인물들의 원운(原韻)과 함께 실려 있다. 서(書)에는 고향인 장성(長城)의 태수에게 고을의 인재 양성을 위한 재정 지원을 요청하는 내용으로 보낸 「상본부태수서(上本府太守書)」가 있다.

잡저 중 흥성 향교에 발송한 통문은 장성의 유생들을 대신하여 쓴 것으로,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의 휘하에서 활약하다 전사한 김연옥(金鍊玉)의 증직을 추진하기 위한 글이다. 「의상방백계(擬上方伯啓)」는 흉년으로 인한 구제 정책에 관해 자신의 견해를 서술한 것이다.

그 밖에 할아버지의 유묵에 대한 발문 및 이조 정랑 유성춘(柳成春)의 행장 등이 실려 있다. 부록에는 저자가 편집한 명현들의 필첩인 『간책』에 대하여 임정헌(林廷憲)·양주익(梁周翊) 등이 기술한 기(記)·서(序) 등이 실려 있으며, 또한 안치택(安致宅)이 쓴 「죽천재기(竹泉齋記)」를 비롯하여 기미(奇瀰)·조유수(趙裕壽) 등이 지은 차운시가 수록되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