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포집 ()

목차
관련 정보
죽포집
죽포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김응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김응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1책. 목활자본. 1934년 9대손 윤환(閏煥)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중면(權重冕)의 서문이, 권말에 윤환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세계표(世系表)·연보, 권2에 소(疏) 12편, 첩보(牒報) 2편, 포고(布告) 1편, 서(書) 2편, 권3에 시 183수, 권4에 부록이 수록되어 있다.

소는 「사지평겸진소회소(辭持平兼陳所懷疏)」·「사관서방어사소(辭關西防禦使疏)」 등 사직소가 많은데, 그 내용 중에는 자신의 정치사상을 피력한 것이 있어 당시의 사정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첩보 중 「이첩각군청거의문(移牒各郡請擧義文)」은 1624년(인조 2) 이괄(李适)과 한명련(韓明璉)이 난을 일으키자 각 군수에게 모병하여 거의할 것을 청하는 내용이며, 「소모의병문(召募義兵文)」 역시 이괄과 한명련이 봉명사(奉命使)를 죽이고 서울로 진격하여오자 위급한 사태에 대비하기 위하여 의병을 모집하는 글이다.

서(書)의 「상모부인서(上母夫人書)」에는 오랫동안 근친(覲親)하지 못하여 안타까워하는 심정이 여실히 나타나 있다. 소의 「진언사소(陳言事疏)」는 당시 조정의 예법이 몇몇 간신들의 상소문에 의하여 어지러워졌음을 지적하고, 임금은 오직 의리에 입각하여 정사를 행하여야 함을 강력히 주장한 글이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