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불상 높이 88cm, 작은 불상 높이 67cm. 197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두 상 모두 연화대좌 위에 가부좌를 틀고 앉아 있는 좌상으로 머리를 복원하였으며 신체 곳곳에 마모와 박락이 심하다.
작은 불상은 결가부좌(結跏趺坐)한 좌상으로 마모와 박락이 심하다. 머리와 오른팔 그리고 왼손도 떨어져 나갔으며 양 무릎이나 팔 등은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있다. 건장한 어깨에는 편단우견(偏袒右肩 : 왼쪽 어깨에 옷을 걸치고 오른쪽 어깨가 드러남.)의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를 걸쳤다.
왼쪽 어깨에서 등에 걸쳐지며 수직으로 늘어지는 옷단이 표현되었다. 이로부터 사선을 그으며 허리 오른쪽으로 연결되는 옷주름이 희미하나마 남아 있다. 볼륨 있는 가슴에 허리를 잘록하게 표현하여 머리와 오른팔을 새로 만들어 붙였다.
그러나 손은 무릎 위에 올린 흔적이 남아 있어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수인(手印)임을 알 수 있다. 대좌는 16엽 복판(複瓣 : 겹꽃잎)의 연판(蓮瓣 : 연꽃잎)이 표현된 직경 60cm의 연화대좌이다.
큰 불상은 작은 불상과 같이 가부좌를 틀고 앉은 좌상이다. 상체에서 흘러내려 무릎을 덮고 있는 법의 자락에 가려져 하체의 굴곡은 드러나지 않는다. 머리는 복원하였으며 왼쪽 무릎이나 양쪽 어깨의 일부와 팔 등도 부분적으로 복원하였다. 우견편단의 법의로 팔뚝 위에도 어깨에서 흘러내린 주름이 표현되었다.
어깨에서 반전(反轉)된 대의(大衣 : 설법을 하거나 걸식을 할 때 입는 중의 옷)가 가슴에서 대각선을 그으며 오른쪽 허리로 연결되는데 주름의 간격은 일정하지 않다.
오른쪽 어깨에는 편삼 같은 자락이 표현되었고 등 뒤에는 한 단의 목깃이 왼쪽 어깨에서 지그재그 무늬를 형성하며 세로로 흘러내려 대의 자락과 뒷목을 둥글게 덮고 있다. 손은 박락되었다. 수인(手印)은 남아 있는 팔의 자세를 통해 알 수 있다. 무릎 위에는 희미하나마 U자형의 주름을 형성하며 흘러내린 대의가 덮고 있다.
삼국시대 초기 불좌상의 주된 형식이었던 선정인(禪定印 : 두 손을 가지런히 배 앞에 모은 손 모양)을 결하고 있어 특이하다. 둥글고 넓은 어깨에 볼륨감 있게 발달한 가슴과 잘록한 허리 등에서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양식이 엿보인다. 그러나 무릎에서는 볼륨감을 읽을 수 없다.
큰 불상 뒤에 있는 주형 거신광배(舟形擧身光背)의 길이는 96cm, 폭 78cm로 원형의 두광(頭光 :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과 신광(身光 : 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을 돋을새김하였다. 그리고 안쪽은 굵고 바깥쪽은 가는 2조의 윤곽선을 새겼다.
원형 두광 내부에는 직경 17.5cm의 원을 그리고 둘레에 꽃무늬[花文]를 배치하고 가장자리의 나머지 공간에 불꽃을 표현하였다.
두 불상 모두 가슴에 적당한 볼륨감이 있고, 앉은 자세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신체의 굴곡 그리고 전체적으로 조화로운 신체 비례와 광배 형식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 불상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