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완구 ()

목차
과학기술
유물
국가유산
조선 중기에 사용하던 유통식 화포(火砲).
이칭
이칭
보물 제859호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중완구(1986-2)(中碗口(1986-2))
분류
유물/과학기술/무기병기류/병장기류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86년 03월 14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중원로 8 (숭인동,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중기에 사용하던 유통식 화포(火砲).
개설

198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중완구의 구조는 크게 완(碗) · 격목통(激木筒) 그리고 약통(藥筒)의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완은 발사물, 즉 구형의 큰 돌(지름 20㎝)이나 쇠공 또는 진천뢰(震天雷)를 올려놓는 그릇이다. 약통은 화약을 놓는 곳이며, 이곳에는 점화선을 끼우는 점화선구멍이 두개 있다.

약통과 완 중간에 격목통이 있는데, 이 곳에는 약통 속의 화약이 폭발할 때 생기는 폭발력을 최대로 완에 있는 발사물, 즉 쇠공에 전달해주는 나무인 격목(激木)을 박는 곳으로 속으로 들어갈수록 좁게 되어 있다.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이 중완구는 1978년 3월 2일 경상남도 통영군 삼양면 앞바다에서 잠수부가 조개 채취작업 중 인양한 것으로 국립진주박물관의 중완구와 똑같은 점으로 미루어보아 1575년(선조 8)부터 1605년(선조 38)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바닷속에서 나온 점으로 보아 임진왜란 때 우리 수군이 사용중 빠뜨린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는 세종 때의 총통완구를 개량하여 제작된 것으로 『화포식언해』에 보이는 중완구와 같은 것으로 추정된다. 『화포식언해』의 완구 설명에는 대 · 중 · 소 · 소소완구의 네 종류가 있는데, 이 중에서 중완구는 사용할 때에 화약 13냥이 필요하며, 격목의 길이는 4촌이다.

특징

완의 길이는 205㎜, 최대내경은 235㎜, 외경은 276㎜이다. 격목통의 길이는 173.5㎜, 약통의 길이는 247㎜로 전체의 길이는 625.5㎜이다.

중완구의 완에 넣는 발사물인 둥근돌[丸石]의 무게는 34근이고, 500보를 날아갔다고 기록되어 있다. 청동으로 주조된 중완구의 무게는 55.6㎏이다.

참고문헌

『화포식언해』
『과학기술문화재조사보고서』Ⅱ(문화재관리국, 1986)
『조선일보』(1978.5.16)
문화재청(www.cha.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