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지신풀이 · 터굿 · 터대감굿 · 안당굿 · 골매기청좌굿’으로도 불린다. 지신은 ‘터주’라고도 하는데, 집터와 마을 또는 나라의 터를 맡아보며 집안과 마을 또는 나라의 액운을 걷어주고 재복(財福)을 준다고 믿어지는 신이다.
이러한 지신은 무신(巫神) 중에서 그 위계를 볼 때, 최상층인 천신과 상층인 천상신 다음인 중상층에 속한다. 지신굿은 그 단독으로 행하여지는 경우는 없으며, 큰굿의 한 거리[祭次, 부분]로 행하여진다.
그런데 재수굿 · 축원굿 또는 씻김굿 등 가정에서 행하여지는 지신굿은 한 집안의 지신 곧 터주를 위한 것이고, 별신굿 · 용신굿 등과 같은 동제의 한 거리로 행하여지는 지신굿은 한 마을의 지신을 위한 것이다. 전자의 예로 강원도 고성지역의 재수굿 중에 지신굿이 있는데, 부정굿 · 서낭굿 · 조상굿 · 성주굿 다음으로 행하여진다.
굿의 진행은 지신을 모시자고 하여 지신이 그 집안까지 들어온 내력을 밝히고, 그 다음으로는 지신을 누르자고 하여 지신을 좌정시킨다. 그리고 지신을 잘 대접하고 나서, 끝으로 지신에게 집안의 액운을 가져가고 풍요와 재복을 가져다달라고 비는 것으로 끝난다. 후자, 곧 마을의 지신을 위한 굿의 예로 경상북도 울진지역의 별신굿(용왕제)이 있는데, 그 진행을 보면, 부정굿 바로 다음으로 ‘골매기청좌굿’이라는 이름으로 행하여진다. 이때에도 사람들은 지신님을 모시자고 하여 골매기(마을 수호신인 지신)의 내력을 밝히고, 대접을 한 뒤에, 풍어 · 풍농 · 장수 등을 빈다.
그러면 그에 응하여 지신이 무당에 실려 공수를 내린다. 이것과는 달리 정초에 세시의례로 행하여지는 지신밟기도 일종의 지신굿인데, 이때에는 먼저 마을의 지신을 모신 뒤에 각 집을 돌아다니며 각 가정의 지신을 모신다.
지금까지 채록된 지신굿 무가는 강원도 고성지역의 재수굿 무가 속의 「지신굿」과 전북도 순창지역의 축원굿 무가 속의 「지신굿」, 그리고 전북도 고창지역의 씻김굿 무가 중에 「지신풀이」가 있다.
고성지역의 「지신굿」은 ‘지신을 모시자.’와 ‘지신을 눌리자.’라는 반복되는 구절을 먼저 노래하고 이어서 축원을 전개한다.“어이야─ 지신을 모시자/과년 열슥달 지내갈지라두/어이어─ 지신을 눌리자/안과 태평을 불궈주시구/……” 한편, 전북도지방의 지신굿은 지신대장군에 대한 굿거리로서 양식 및 세간 기물을 불려주는 신을 제향하는 의식이다.
“아츠그 떠낸 양석 저녀그 불어놓구. 저녀그 떠낸 양석 아츠그 불어놓구. 되루 떠내면 섬으루 불어주시던 지신대장이로구나.” 이처럼 지신은 성주와 대응되는 가정의 수호신으로서 가족원의 삶을 보호하고 재산과 기물을 늘려주는 신으로 숭앙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