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재유고 ()

목차
유교
문헌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허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허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8권 4책. 석인본. 1927년 아들 진(珍)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오준선(吳駿善)의 서문, 권말에 기우만(奇宇萬)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29수, 권2∼4에 서(書) 66편, 권5·6에 잡저 30편, 권7에 서(序) 20편, 기(記) 4편, 사(辭) 3편, 상량문 2편, 통문 3편, 축문 4편, 제문 6편, 묘갈명 2편, 묘지명·묘표·행장 각 1편, 부록으로 행장, 묘갈명, 서직재문후(書直齋文後)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체로 고인의 품격을 지녀 그 문체가 청아한데, 「국애(國哀)」에는 나라 잃은 설움이 내포되어 있다. 서(書)의 「상곽면우(上郭俛宇)」는 곽종석(郭鍾錫)에게 보낸 것으로, 당시의 국내 사정을 개탄하면서 우국지심을 토로하였다. 「답심정집(答沈正執)」은 세상 만사가 입지(立志)에 따라 좌우된다고 그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그리고 「답정예경(答鄭禮卿)」은 사람의 인격이 형성되는 과정을 문답한 내용이며, 「답허사집별지(答許士執別紙)」는 태극의 이론을 담고 있는 글이다. 「답이명수(答李明壽)」에는 『대학』의 삼강(三綱)과 팔조목(八條目)에 대한 내용이, 「여양내덕별지(與楊乃德別紙)」에는 천정지동설(天靜地動說)에 대한 견해가 언급되어 있다.

잡저의 「무학해(務學解)」는 이기학(理氣學)의 원론으로, 인류가 오행의 후박의 기운에 의해 형성되는 이치와 음양도수(陰陽度數)에 적응되는 경위를 설명하였다. 이 밖에 「응거설(應擧說)」에서는 성군의 택인(擇人) 방법을 인용, 과거 제도를 공정하게 시행할 것을 주장하였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