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강위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평안도 의주목에 설치된 서반(西班) 토관직(土官職) 군관(軍官)의 둔소(屯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평안도 의주목에 설치된 서반(西班) 토관직(土官職) 군관(軍官)의 둔소(屯所).
내용

토관직은 원래 고려시대의 향직(鄕職)에서 유래된 것으로 평안도나 함경도 및 제주도와 같은 변방지역에 대한 우대책으로 특별히 설치된 관직체계이다.

의주는 국가의 문호로서 사신의 내왕이 빈번하고 사신을 지대(支待)하기가 어려워서 호구가 날로 감소하였다. 이에 국가에서는 호구의 감소를 방지하고자 평양과 영변의 토관을 나누어서 의주에 설치할 것을 논의하였다.

결국 영변의 진변위(鎭邊衛)에서 17인을 옮기고 13인을 가설(加設)하여 총 30인, 2영(領)의 진강위를 설치하였다.『경국대전』에서는 1영 18인으로 그 수효가 감소되었다.

참고문헌

「조선초기(朝鮮初期)의 토관(土官)에 대하여」(이재룡, 『진단학보』29·30합집, 1966)
「十五世紀朝鮮の土官制-李朝初期地方支配體制の一斷面-」(吉田光男, 『朝鮮史硏究會論文集』18, 198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