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양성도 ()

목차
회화
개념
진주의 옛 시가지와 진양성을 중심으로 그린 지도산수체 그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진주의 옛 시가지와 진양성을 중심으로 그린 지도산수체 그림.
내용

연결식 병풍체로 꾸미는 것이 통례로 되어 있다.

진주는 예로부터 성을 중심으로 발전해온 도시로서 백제가 변한으로부터 차지하였을 때는 거열성(居列城)이라 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만흥산성(萬興山城)을 쌓고 진주라고 불렀으며, 태조 때에 진양(晉陽)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임진왜란에 이르러 가장 치열한 격전지로 부각되었다. 「진양성도」는 「평양기성도」와 아울러 지도산수화의 쌍벽을 이루고 있는데, 그 규모는 「평양기성도」보다 작다 하더라도 공통된 성격이 뚜렷하게 발견된다.

이 그림에는 남강(南江)과 산성을 중심으로 옛 시가지와 산성·성문 등이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고, 촉석루(矗石樓)·서장대(西將臺) 등 이름난 고적들이 정확하게 표시되어 있어서 근래에 산성을 복원할 적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전하여지고 있다.

유존되는 지도산수 자료를 정리하여 보면 기성·진양성·북한산성·고성 등 성을 중심으로 그려졌다. 대개 고지도들이 군사용으로 쓰여진 흔적으로 미루어 보아 「진양성도」 역시 원래는 군사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