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240㎝, 무릎 폭 170㎝. 1979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불상은 거구의 좌상으로 발견 당시부터 바위 틈에 끼어 옆으로 누운 모양이었다고 한다. 어떤 연유로 하여 쓰러진 것인지는 알 수 없다.
현재 쓰러진 돌의 윤곽이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의 역할을 하고 있을 뿐 광배와 대좌는 별도로 표현하지 않았다.
불상의 머리 상부에 세 개의 홈이 있는데 어떤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인위적인 구멍이라 보기엔 상에 너무 가까이 위치해 있다. 그리고 불상 하부에 크기는 좀 작지만 비슷한 구멍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돌의 재질과 풍화 작용이 결합하여 생긴 자연스런 현상으로 판단된다.
불신의 전체 형태는 돋을새김하였으나 내부의 옷주름은 선각(線刻 : 선으로 새김)으로 나타내었다. 소발(素髮 : 민머리)의 머리에 둥근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표현되었다.
얼굴 윤곽은 둥근 편인데 안면이 마모되어 세부 표현을 자세히 알아볼 수는 없다. 그러나 백호공이 희미하게 남아 있고 눈은 옆으로 길게 새겼으며 입은 매우 작은 편이다. 귀는 길어서 어깨까지 늘어졌다.
양쪽 어깨에 걸친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의 대의(大衣 : 설법을 하거나 걸식을 할 때 입는 중의 옷)는 가슴에 서너 단의 U자형 주름을 형성하며 흘러내린다. 다리 부분은 마모되어 옷주름 선의 흐름을 명확하게 알아보기 어렵다.
오른손은 가슴 부근까지 들어 올려 시무외인(施無畏印)의 손 모습을, 왼손은 무릎 위에 세운 여원인(與願印)의 손 모습을 하고 있다. 이러한 자세는 통일신라시대 시무외 · 여원인 불좌상의 전통을 잇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어깨가 넓고 당당하며 무릎 폭도 넓고 높이도 매우 높아 안정된 자세에 신체 비례도 비교적 조화로운 점 등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양식을 계승한 작품으로 보인다.
그러나 가슴에는 이미 양감이 줄어들었고 신체 표현이 대체로 평판적이며 단순하게 형식화된 옷주름 선과 옆으로 긴 눈에 작은 입 등의 이목구비 표현 등에서 제작 시기는 고려시대까지 내려 볼 수 있는 작품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