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 ()

목차
식생활
제도
조선시대 궁중의 다방소속이 아닌 일반 관사(官司)에서 차와 술 대접 등 잡일을 맡아 하던 관비(官婢).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궁중의 다방소속이 아닌 일반 관사(官司)에서 차와 술 대접 등 잡일을 맡아 하던 관비(官婢).
내용

조선시대 사헌부 관원들은 특별한 일이 없는 날에도 다시청(茶時廳)에 모여 차를 마시는 풍속이 있었다. 이와 같은 풍속으로 보아 관사에서 다사(茶事)를 맡은 다모가 필요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는 음다풍속의 쇠퇴에 기인함인지 아니면 비슷한 발음 때문인지 다모는 음식 등의 잡일을 하는 찬모와 혼용되게 쓰였으며, 단순한 관비로 변해버렸다.

한편, 개화기 이후 궁중에서 풀려나온 궁녀들이 차마시는 풍습을 항간에 전파시켜 차를 대접하는 풍습이 생겨나기도 하였고, 점차 차를 파는 찻집이 생겨나기도 하였다.

예전의 서울 모전다리 찻집에서는 겨드랑이의 살이 보이는 짧은 저고리를 입은 다모들이 손님을 유인하여 작설차를 팔았기에 ‘모전다리 다모의 겨드랑이’라는 속담이 생겨나기도 하였다. 또한, 쌍계사 입구에는 모녀가 작설차를 파는 찻집이 있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다도학』(김명배, 학문사,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