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승자총통 ()

목차
관련 정보
차승자총통
차승자총통
과학기술
유물
국가유산
조선 전기에 제작된 총.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차승자총통(次勝字銃筒)
분류
유물/과학기술/무기병기류/병장기류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86년 03월 14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신림동, 서울대학교 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에 제작된 총.
내용

198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승자총통의 종류는 승자총통·차승자총통·소승자총통·별(別)승자총통 등이 있었다.

현존하는 승자총통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은 경희대학교 박물관 소장 승자총통(총의 모병과 약통부분 34㎝만 남아 있고, 나머지 부분은 파손되었음.)으로, 음각된 제작연대는 선조 8년(1575)이며, 당시 병사(兵使) 김지(金墀)가 처음 제작한 것으로 임진왜란 당시 많이 사용되었다.

승자총통 중에서 제일 큰 종류는 별승자총통으로 총의 길이가 76∼76.5㎝이며, 이 총신에 나무로 개머리판 형태로 부착하여 사용되었다. 소승자총통에는 총구와 총의 약통 위에 각각 1개씩 가늠자가 있으며, 나무로 제작한 개머리판을 붙이게 되어 있어 우리나라 최초로 현대식 모양을 갖춘 총이었다.

승자총통의 일반적인 길이는 55.4∼55.7㎝이며, 총구의 지름은 1.8∼2.3㎝인데, 차승자총통은 길이 56.8㎝, 총구의 지름 1.6㎝이다.

《화포식언ᄒᆡ》에 의하면 승자총통은 한번에 한냥의 화약을 사용하여 철환(鐵丸) 15개를 발사하였고, 차승자총통은 한번에 5전(錢)의 화약을 사용하여 철환 5개를 발사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차승자총통의 규모가 승자총통보다 작은듯한데, 현존하는 것은 크기에 별 차이가 없다. 서울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화포식언ᄒᆡ(火砲式諺解)』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