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삼동동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경상남도 창원시 삼동동에 있는 변한과 가야 시기의 무덤유적.
유적
건립 시기
2세기 중엽∼3세기 말엽
관련 국가
변한, 가야
소재지
경상남도 창원시 삼동동
내용 요약

창원삼동동유적(昌原三東洞遺蹟)은 경상남도 창원시 삼동동에 있는 변한과 가야 시기의 무덤유적이다. 창원삼동동유적의 무덤은 특이하게 독무덤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18호 독무덤에서는 연호문이 그려진 청동거울이 출토되었고, 2호 돌덧널무덤에서는 쇠화살촉이 출토되었는데, 두 점 모두 일본의 고분시대 전기의 무덤에서 출토되는 것들과 유사하다.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삼동동에 있는 변한과 가야 시기의 무덤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1982년 창원여자고등학교 신축 부지 공사 중 유적이 확인되어 부산여자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주1 34기를 비롯하여 주2, 주3 등 총 51기의 무덤이 확인되었다.

형태와 특징

변한-가야에서는 성인을 토기에 묻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은데, 창원삼동동유적은 독이 주를 이루는 점이 특이하다. 이렇게 독을 성인 무덤으로 사용하는 것은 일본 북부 규슈〔九州〕의 주4시대와 한반도 서남부 영산강 유역의 삼국시대 유적에서 확인된다.

창원삼동동유적의 독무덤은 관으로 사용하기 위해 별도로 전용 독을 만든 것이 아니라 생활에 사용하던 토기를 그대로 이용하였다.

10호 독무덤의 경우, 큰 항아리 두 개의 입을 서로 맞추어 가로로 묻었는데, 총 길이 194㎝로 성인 남성도 무리없이 매장할 수 있는 크기이다. 대체로 전체 길이 1m 이상의 대형 독무덤이 중심을 이루지만, 60㎝ 내외의 소형 독무덤도 있기 때문에 유아나 어린이의 무덤도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덧널무덤은 길이 2~3m, 너비 1m 이하로 크지 않고, 유물도 머리쪽에 짧은목항아리와 같은 토기나 쇠화살촉 정도로 빈약하다. 돌덧널무덤은 널돌을 촘촘히 세워 만든 것으로 일반적인 가야의 돌덧널과는 다른 점이 특징이다. 평면 형태가 머리쪽은 넓고 발쪽은 좁은 형태가 많다. 이러한 무덤 형식의 차이는 시기적이라기보다는 동 시기에 계층 차이에서 비롯된 사회 문화적인 차이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독무덤은 컵형토기 같은 소형 토기와 수정다면옥, 유리구슬, 화살촉, 손칼 등이 소량 출토되는 것이 특징이지만, 드물게 5호 독에서는 쇠칼이 출토되었고, 18호 독에서는 왜계(倭係)의 청동거울이 출토되어 상대적으로 신분이 높은 이들도 독을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덧널무덤은 대형의 무덤은 확인되지 않고 유물도 빈약하다. 돌덧널무덤도 주5와 같은 소형 토기가 주로 부장되며, 특이하게 2호 돌덧널무덤에서 왜계의 청동화살촉이 출토된 바 있다. 왜계 유물이 출토된 18호 독무덤과 2호 돌덧널무덤 역시 부장품이나 무덤의 크기에서 차별적이지 않기 때문에 이 무덤군에서 계층 차이는 그리 크지 않아 보인다.

의의 및 평가

성인을 독에 묻거나, 독무덤이 중심인 무덤군은 창원삼동동유적을 제외하면 가야나 신라에서 확인되지 않는다. 돌덧널무덤도 전형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있어 지역적인 특징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18호 독무덤 출토의 왜계 청동거울은 가장 유사한 것이 일본 오사카츠보이오타비야마〔大阪壺井御旅山〕 고분에서 출토된 것이며, 2호 돌덧널무덤 출토 청동화살촉 역시 일본 고분시대 전기에서 자주 확인되는 것으로 4세기 대에 해당하는 것이다.

창원삼동동유적은 금관가야의 김해 대성동 고분군, 김해 양동리 고분군과 같은 중심 고분군과 달리 지역 내 독자적인 문화를 보여 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창원삼동동옹관묘』(부산여자대학교박물관, 1984)

논문

심재용, 『金官加耶 古墳 硏究』(부산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9)
주석
주1

시체를 큰 독이나 항아리 따위의 토기에 넣어 묻는 무덤.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인 무덤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 시대부터 쓰여 지금까지도 일부 섬 지방에서 쓰이는데, 하나의 토기만을 이용하기도 하고 두 개 또는 세 개를 이용하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2

관을 넣어 두는 널방을 나무로 만든 무덤. 평양 부근의 낙랑 고분, 경주 부근의 신라 고분이 이에 속한다.    우리말샘

주3

지면을 깊게 파고 자갈 따위의 석재(石材)로 덧널을 만든 무덤. 삼국 시대에 사용했으며 널길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말샘

주4

일본 선사 시대의 벼농사를 기초로 한, 기원전 200년~기원후 300년의 최초의 문화. 채집 경제 사회에서 생산 경제 사회로 변화한 야요이 시대의 시작은 농업을 중심으로 한 사회 조직이 구축되었다는 점에서 혁명적이다. 청동기를 비롯한 금속기가 도구로 사용되었고, 쌀과 같은 농작물을 비축하여 얻은 부로 계급 사회가 성립되었다.    우리말샘

주5

아가리가 몸통보다 넓고 크게 벌어진 작은 잔. 주로 삼국 시대 초기의 고분에서 출토되었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