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처불상 사사불공 ( )

목차
관련 정보
원불교
개념
모든 일을 불공하는 마음으로 공경심과 정성을 들여 해나가자는 원불교교리.
목차
정의
모든 일을 불공하는 마음으로 공경심과 정성을 들여 해나가자는 원불교교리.
내용

원불교 교조 소태산(少太山)은 처처불상의 근거를 일원상(一圓相)의 진리에 둔다. 그는 일원상의 진리를 법신불(法身佛)로 표현하고, 이 법신불은 우주만유의 전체에 내재한다고 보았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원상의 진리는 우주만유의 전체적 진리이므로 만물 전체가 진리의 화신이다. 그러므로 일원상의 진리를 신앙하는 것은 우주만유를 신앙하는 것과 동일하며, 반대로 우주만유를 신앙함은 일원상의 진리를 신앙함이 된다.

둘째, 일원상의 진리는 지극히 공정하고 삿됨이 없는 주1의 원리이기 때문에 이에 근거하여 만물의 생성이 가능하게 되며, 만물이 인간에게 죄복을 내릴 수 있는 권능을 지니게 된다는 것이다. 즉, 인과진리의 보편성이 만물의 진리화현으로서의 권능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우리는 만물을 무한한 위력을 지닌 대상임을 인식하게 된다는 것이다. 셋째, 일원상의 진리는 무한 생성력인 은(恩)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우리는 이 은을 우주만유 전체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를 주2 · 주3 · 주4 · 주5이라는 4은으로 표현하여 나의 생존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처처불상의 의미가 드러나면 사사불공은 이에 따라 자연 새롭게 규정된다. 불공이라는 개념은 전통적으로 일종의 의식과 연결된 신앙행위를 뜻하였으나, 불(佛)의 소재와 의미가 진리적으로 규정됨에 따라 그 개념이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부연하면 첫째, 진리적인 부처신앙과 진리적인 불공이다. 즉, 진리적으로 부처님을 섬기는 방법을 가르치려는 것이다. 이는 신앙의 진리화를 지향하는 가르침이다.

둘째, 사실신앙과 사실불공이다. 이는 법신불의 응화신(應化身)인 만물의 각 개체 자체를 사실적으로 믿고 불공하는 의미를 지닌다. 즉, 만물의 개체적 성격을 존중하고 개성에 맞는 불공을 강조함으로써 세속을 진리의 화현으로 보려는 것이다. 셋째, 일체불(一切佛)사상과 간단없는 불공법이다. 일체가 부처이므로 시간과 처소에 구애됨이 없는 불공을 하여야 됨을 강조한다. 이와 같이 일원의 진리 자체에 대한 진리불공과 생활 속에서 당면하는 모든 일들을 불공의 심정으로 대하는 당처불공이 주6되도록 하는 것이 사사불공의 특징이다.

참고문헌

『원불교교전』(정화사, 1962)
『정산종사어』(정화사, 1963)
『원불교와 한국사회』(류병덕, 원광대학교출판국, 1977)
『종교와 원불교』(송천은, 원광대학교출판국, 1979)
주석
주1

원인과 결과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원불교에서, 인간이 천지(天地)로부터 받은 은혜를 이르는 말. 하늘ㆍ땅ㆍ일월ㆍ바람ㆍ구름ㆍ비ㆍ이슬 따위로 만물이 생명을 유지할 수 있음을 뜻한다. 원불교의 기본 교리인 사은 중 하나이다. 우리말샘

주3

원불교에서, 부모에게서 받은 직접적이고 절대적인 큰 은혜를 이르는 말. 원불교의 기본 교리인 사은 중 하나이다. 우리말샘

주4

원불교에서, 유기적 관계 속에서 서로 은혜를 끼치는 동포의 은혜를 이르는 말. 원불교의 기본 교리인 사은 중 하나이다. 우리말샘

주5

원불교에서, 인간이 지켜야 하는 규범ㆍ예의ㆍ윤리 따위를 의미하는 법률(法律)에 따라 개인ㆍ가정ㆍ사회ㆍ국가ㆍ세계가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고 평화롭게 살아갈 수 있는 은혜를 이르는 말. 원불교의 기본 교리인 사은 중 하나이다. 우리말샘

주6

여러 가지를 완전하게 갖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