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155cm. 1979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원형의 연화대좌(蓮花臺座) 위에 직립한 원각상이다.
현재는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가 없으며 뒷면은 조각하지 않았다. 부근의 폐사지에서 옮겨온 상으로 양손을 보수한 것 외에 전체적인 보존 상태는 매우 좋다.
둥그런 윤곽의 머리는 소발(素髮 : 민머리)이며, 정수리에는 크고 둥근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얹혀졌다. 도톰하게 살이 오른 얼굴에는 이목구비가 정연하며 친근감 있는 미소가 어리어 있다.
귀는 길어 어깨까지 닿았으며, 목에는 삼도(三道)가 뚜렷이 표현되었다. 건장한 어깨에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의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를 걸쳤다.
목깃은 네 겹을 이루며 반전되었고, 어깨에서 내려오는 옷주름은 그 밑에서 완만한 U자형을 이루며 가슴을 지나 배에까지 흘러내리고 있다. 대퇴부에서 양쪽 다리 위로 갈라진 주름은 양 무릎 위에서 다시 서너 줄의 U자형 주름을 형성하며 흘러내렸다.
이러한 옷주름을 보이는 가장 오래된 예는 통일신라시대인 719년(성덕왕 18년)에 조성된 경주의 감산사석조아미타불입상(甘山寺石造阿彌陀佛立像)이다.
이러한 표현은 통일신라시대 불입상의 여러 유형 가운데 가장 유행하던 형식의 하나로 다양한 변화를 보이면서 많이 제작되었던 표현 형식이다.
어깨에서 팔로 흘러내린 자락은 들어 올린 팔목에 걸쳐져 발목 부근까지 길게 흘러내리고 있다. 대의(大衣 : 설법을 하거나 걸식을 할 때 입는 중의 옷) 자락 밑으로 보이는 군의(裙衣)는 두툼한 편이나 다리에 밀착되게 표현되었다.
현재 양손은 복원된 상태이나 원래부터 손은 따로 만들어 끼웠던 것임을 알 수 있다. 손의 위치로 보아 시무외인(施無畏印 : 다섯 손가락을 가지런히 펴서 손가락을 바깥으로 하여 어깨 높이까지 올린 모습) · 여원인(與願印 : 다섯 손가락을 편 상태에서 손바닥을 바깥으로 하여 손 전체를 내린 모습)을 맺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좌는 현재 상태로 보아 불상이 직립해 있는 부분은 평면이 원형인 연화대좌이나 아랫부분은 법당 마루에 가려져 정확히 알 수 없다.
전체적으로 건장한 체구에 위엄이 어려 있으나, 어깨가 좁아지고 신체에 양감이 줄어든 점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 양식을 반영한 고려 초기의 불상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