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창의록 ()

청계창의록
청계창의록
유교
문헌
조선시대 의병장 양대박의 의거에 관련된 기사를 수록한 의병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의병장 양대박의 의거에 관련된 기사를 수록한 의병록.
편찬/발간 경위

1609년(광해군 1) 양대박의 맏아들 양경우(梁慶遇)가 일부를 편집하였다. 활자본의 간행 시기는 1799년(정조 23) 왕명에 의해 편찬 · 간행된 『양대사마실기(梁大司馬實記)』(11권 5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와 거의 비슷한 때로 추정된다. 필사본에는 남원양씨(南原梁氏)의 시조로부터 양대박의 7세손에 이르는 「청계선생세보(靑溪先生世譜)」가 첨부되어 있다. 권두에는 1609년 우리나라에 사신으로 온 중국의 웅화(熊化)가 쓴 서문이 있고, 권말의 부록에는 김장생(金長生) · 김상헌(金尙憲) 등을 포함한 주변 인물들이 양대박의 업적을 기리는 내용으로 보낸 5편의 서(書)가 덧붙여 있다.

서지적 사항

2책의 필사본과 1책의 목활자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창의격문(倡義檄文)」 · 「상송강정상국청주참왜사서(上松江鄭相國請奏斬倭使書)」 · 「창의종군일기(倡義從軍日記)」 · 「운암파왜도후기(雲巖破倭圖後記)」 · 「천병유량격문(天兵留糧檄文)」 · 「의상소초(擬上疏草)」 · 「차고상사유량시운(次高上舍儒良詩韻)」 · 「양공전(梁公傳)」 · 「제정상국양공전후(題鄭相國梁公傳後)」 · 「호남유생상소(湖南儒生上疏)」 · 「남원양씨세전가승(南原梁氏世傳家乘)」 및 양대박에 대한 제문 2편을 비롯해 『용성지(龍城誌)』의 초문(抄文), 유고 『청계집(靑溪集)』의 서문, 「제창의격초본발(題倡義檄草本跋)」 등이 수록되어 있다.

상 · 중 · 하 세 편으로 구성된 「창의종군일기」는 1592년(선조 25) 4월 17일부터 7월 10일에 이르는 임진왜란 초기에 양대박이 아들 양경우 · 양형우(梁亨遇) 등과 함께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임실의 운암(雲巖)에서 왜적을 대파하고, 이어 전주에 이르렀을 때 과로로 인해 진중에서 숨을 거둔 행적 등을 기술한 것이다.

「운암파왜도후기」는 1599년 둘째 아들 양형우가 아버지가 운암에서 고경명(高敬命)과 함께 적을 토벌하는 모습을 회상하면서 그린 그림에 대한 해석이다. 「호남유생상소」는 1610년 김화(金澕)를 주축으로 한 호남 유생들이 양대박의 의병 활동에 대한 공적을 들어 증직(贈職) 및 사우(祠宇) 건립 등을 조정에 건의하는 내용의 소다.

『용성지』의 초문에는 이들 삼부자의 전공이 사실적으로 실려 있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 해 정철(鄭澈)에게 일본 사신을 죽여 없애기를 임금에게 요청하도록 부탁하는 내용으로 보낸 편지다.

의의와 평가

임진왜란 중에 우리나라를 구원하러 파견된 명군(明軍)에 협조를 당부하는 내용으로 주민들을 회유한 격문 등은 『청계집』 · 『양대사마실기』, 양경우의 『제호집(霽湖集)』, 양형우의 『동애집(東崖集)』 등과 함께 전란사 연구에 좋은 참고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청계집(靑溪集)』
『양대사마실기(梁大司馬實記)』
『제봉집(霽峰集)』
『송강집(松江集)』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