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연활자본. 저자 권중원(權重遠)은 권진규(權晉奎)라는 이명으로도 알려져 있다. 1966년 아들 창옥(昌玉)과 조카 순옥(舜玉) 등이 유문(遺文)을 모아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종인(宗人) 도용(道溶)과 이헌주(李憲柱) 등의 서문이, 권말에 손자 희철(熙哲)과 다수의 문인들이 쓴 발문이 있다. 전라남도 장성군 변시연가(邊時淵家)의 산암문고(汕巖文庫)에 있다.
권1에 시 110수, 권2에 서(書) 7편, 잡저 2편, 논(論) 16편, 설(說) 4편, 기(記) 5편, 서(序) 6편, 발(跋) · 상량문 · 축문 각 1편, 제문 4편, 권3에 표(表) 2편, 책(策) 12편, 권4에 부록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에는 권봉진(權鳳鎭) · 채동섭(蔡東燮) 등 주변 인물들에게 전통적 가치질서가 무너져감을 우려하거나 인격함양을 위하여 조언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잡저에는 『대학』 · 『중용』에 관한 선현들의 학설을 분석, 검토하는 한편, 자신의 연구결과를 도식을 첨부하여 설명한 「대학문답(大學問答)」 · 「중용문답(中庸問答)」 등이 실려 있다.
논에는 중국의 역사적 사건 및 인물을 품평한 「왕후장상영유종(王侯將相寧有種)」 · 「위의제호소(爲義帝縞素)」 · 「소시서(燒詩書)」 등이 있으며, 표에는 중국의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한 「의한군신표하항우부도관중이도팽성(擬漢群臣表賀項羽不都關中而都彭城)」 · 「의촉한군신표하즉위이제갈량위승상(擬蜀漢群臣表賀卽位以諸葛亮爲丞相)」이 실려 있다.
책에는 「경권(經權)」 · 「의신(疑信)」 · 「봉록(俸錄)」 · 「병법허실(兵法虛實)」 · 「전화(錢貨)」 · 「삼불후(三不朽)」 등 폭넓은 제재로 비판적 서술을 가한 글들이 다수 있는데, 이 가운데 「병법허실」과 「전화」는 병법의 기초적 연구 및 당시의 통화정책을 이해하는 데 참고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