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년 충청남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하송을 중심으로 하여 인근 마을의 공동 참여로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목적으로 매년 정월에 행해지는 제의이다.
이 마을이 봉화(烽火)를 피웠던 곳이어서 봉화라 했던 것이 동화로 변했다거나, 임진왜란 때 왜적에 대항하기 위한 화전(火戰)에서 발생된 것이라는 구전이 있으나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다. 모두 불을 중요시한 유래담으로, 현재의 이름도 이런 뜻으로 붙여진 명칭인 듯하다.
동화제를 지내기 위해 먼저 음력 정월 초이틀부터 걸립패가 걸립을 하며, 호당 한 말 정도의 쌀을 걷으면 제주(유사)는 이것으로 제사를 준비한다. 14일 저녁 무렵, 마을의 남자들이 나무를 해다 원추형의 큰 나뭇단, 즉 동화나무를 만드는데, 눕혀 싼 나뭇가리(땔나무를 쌓은 더미)의 아래 위 여섯 군데를 단단히 묶어 여럿이 줄을 잡아당겨 일으켜 세운다. 전에는 불이 소리를 내며 잘 타도록 하기 위해 가시나무만을 썼으며, 나뭇가리를 쌓을 때는 아래의 노래를 흥겹게 부른다.
홍두깨 박달나무 비단같은 전나무
죽어도 살구나무 버선끝에 상모나무
악마구리 복사나무 오목다리 오목나무
등등에 모과나무 마주섰다 은행나무
덜덜떠는 사시나무 넙적앉아 줄나무
말라빠진 살대나무 입맛없다 쑥나무
오자마자 가재나무 입설같은 명조나무
할수없이 가야나무 시집갈때 가마나무
빠르기 화살나무 방귀뀌기 뽕나무
전기선대 수기나무 부끄러워 무안나무
농악대의 주도로 각종의 마을기들이 제장 주위에 꽂히고 제물이 진설되면 제사부터 지낸 뒤에 동화나무에 불을 붙인다. 동화가 타는 동안 풍장꾼들은 동화주위를 돌면서 풍물을 치며, 주민들은 동화제에 참여함으로써 액막이가 된다고 여겨 주위에서 이를 지켜본다. 그리고 아이들을 중심으로 싸리나무나 겨릅대를 묶은 것을 가지고 제장 주위에서 쥐불놀이를 한다.
동화가 타면서 넘어지는 쪽 마을에는 그해 질병이나 재난이 따른다는 속신도 있다. 동화제는 본디 이 지방 일대 여러 곳에서 전승되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거의 전승이 단절되고 지금은 한두 곳에서만 전승이 유지되고 있다. 1987년 제28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장려상, 이듬해 제29회 대회에서는 문화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