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은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민치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민치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연활자본. 1934년 손자 영찬(泳璨)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윤영구(尹寗求)의 서문이, 권말에 영찬·영표(泳杓)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7수, 소(疏) 2편, 서(書) 6편, 서(序) 1편, 기(記) 4편, 발(跋) 1편, 제문 8편, 행장 2편, 권2에 부록으로 행장·묘지명·묘갈명·제문·만사·청은기(淸隱記)·수서(壽序)·회갑운(回甲韻)·증유시집(贈遺詩什)·문인록(門人錄)·세계(世系)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의 「신묘회갑일불승구로지감구일률이시아손(辛卯回甲日不勝劬勞之感構一律以示兒孫)」은 회갑을 맞이하니 부모의 구로지은(劬勞之恩)이 새삼 떠올라 감회가 깊다고 토로한 것이다.

소의 「의소(擬疏)」에서는 유학(儒學)은 화민(化民)의 근본이요, 무비(武備)는 고국(固國)의 근간이라고 강조하면서 돈유학(敦儒學)·수무비(修武備)·박부렴(薄賦斂)·광저축(廣儲蓄)·절음식(節飮食)·한의복(限衣服)·외소민(畏小民)·예백신(禮百神)·납간쟁(納諫諍)·정군심(正君心) 등 시의에 적절한 10개 항의 정책을 제시하였다.

기 중 「관어대기(觀魚臺記)」는 선조의 관어대 주위 풍경을 설명한 글로, 북으로는 제천(濟川)이 통하고, 남으로는 기호(耆湖)가 맞닿고, 동으로는 구정(龜井)을 바라보고, 서로는 어유(御遊)를 관망하며, 남으로 들어오는 물이 대 아래에 모여 그 안에서 고기들이 뛰노는 모습이 가히 일대장관이라 하였다. 저자의 문장력을 살필 수 있는 글이다.

그 밖에 민익현(閔益顯)의 호에 대한 기문인 「묵재기(默齋記)」가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