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원 ()

목차
민간신앙
개념
무속의례에서 인간이 신에게 소원을 비는 말을 가리키는 무속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무속의례에서 인간이 신에게 소원을 비는 말을 가리키는 무속용어.
내용

굿거리나 신의 성격에 따라, 또는 제주(祭主)의 정황에 따라 축원의 내용은 달라진다. 그러나 대상신의 직능에 관계없이 축원에는 고정된 틀이 있다. 대표적 축원으로는 서두축원(序頭祝願)·고사축원(告祀祝願)·조상축원(祖上祝願)·망자축원(亡者祝願) 등이 있다.

서두축원은 무의(巫儀)를 시작할 때 주신(主神)에게 올리는 말로서, 제주도 무가에서는 ‘배포도업침’ 및 ‘집안연유닦음’이라고도 한다. 천지가 조판(肇判 : 처음 쪼개어져 갈라짐)된 이후 무의를 하는 현재까지 시간의 경과를 약술하고 명산·대천의 이름을 나열하여 공간적 분포를 약술한다. 다음으로 치성을 드리게 된 연유를 말하고 제물을 정성스럽게 준비하였다는 공치사를 한다. 또한 제주의 생년과 성씨를 대고 제일을 고르던 사연, 제물을 진설한 상태 등을 고한다.

고사축원은 성조축원이라고도 하는데, 가정을 지키는 신에 대한 축원을 말한다. 내당축원(內堂祝願)·대감축원(大監祝願)·지신축원(地神祝願)·터주축원·수문장축원(守門將祝願)·뒷간축원[厠間祝願]·걸립축원 등이 있다.

조상축원은 굿하는 무당의 축원보다 안택(安宅 : 무당이 터주를 위도하는 일)을 할 때 좌경(坐經)하는 사람이 소리내어 읽는 축원의 내용이 다채롭다. 대체로 조상해원(祖上解寃)이라고도 불리는데, 조상에게 자손들의 수명과 복록·행운을 비는 내용과 조상들의 맺힌 한을 푸는 것으로 되어 있다.

망자축원은 죽은 사람의 혼령을 위무하는 내용이다. 헐벗고 굶주렸던 한 맺힌 삶과 저승사자에 의하여 저세상으로 인도되는 망령(亡靈)의 모습을 묘사한다. 이상의 축원은 무가로 전승되고 있으나 일반민중에게도 널리 퍼져서 민요나 가사문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지신밟기노래」는 고사축원에서, 「상엿소리」는 망자축원에서, 「터다지기노래」는 성조축원에서 각각 영향을 받은 민요이다.

참고문헌

『구비문학개설(口碑文學槪說)』(장덕순 외, 일조각, 1971)
『朝鮮巫俗の硏究 上』(赤松智城·秋葉隆, 大阪 屋號書店, 193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