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정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봉채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3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봉채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석인본. 1913년 손자 낙순(洛淳)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홍순형(洪淳馨)의 서문, 권말에 낙순의 발문이 있다. 전라남도 장성의 변시연가(邊時淵家)에 있다.

권1에 사(詞) 4수, 시 118수, 권2에 서(書) 19편, 서(序) 3편, 기(記)·제문·행장·묘표 각 1편, 잡저 4편, 권3에 부록이 수록되어 있다.

사에는 전원생활에 귀의하려는 욕망을 묘사한 「서벽사(棲碧詞)」가 있는데, 4수의 연작(連作)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 가운데 「탄왕화불행(歎王化不行)」·「책천정권간흉배(責擅政權奸凶輩)」 등은 사회적 부조리를 고발함으로써 지배층의 경각심을 일깨우려 한 것이다.

서(書) 중 「답정후(答鄭侯)」는 지방관으로 부임한 정해륜(鄭海崙)이 고을의 행정에 대한 자문을 구해오자 고을의 사정에 밝은 강문회를 자문으로 추천하면서 교육 및 권농에 관하여 조언한 내용이다. 당시 지방민들의 생활상을 이해하는 데 참고자료가 된다.

잡저에는 상고시대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태고역대설(太古歷代說)」과 독서의 방법론을 제시한 「독서지요(讀書之要)」 등이 수록되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