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상 (큰)

목차
관련 정보
회갑 상차림
회갑 상차림
식생활
개념
회갑 · 혼례 · 희년 · 회혼 등의 경사스러움을 축하하는 의미로 주인공에게 차려 주는 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회갑 · 혼례 · 희년 · 회혼 등의 경사스러움을 축하하는 의미로 주인공에게 차려 주는 상.
내용

가장 풍성하고 화려하게 차려지는 상차림이다. 큰상에 차리는 음식은 각종 과정류(果正類)·생실과·건과류(乾果類)·병이류(餠餌類)·전과류(煎果類)·숙육·편육류·전유어류·건어물류·포류·적류 등이다.

이 음식들을 30∼60자 가까이까지 원통형으로 높이 괴어, 색상을 맞추어 2·3열로 배열하고, 주인공 앞으로는 그 자리에서 먹을 수 있는 장국상을 차린다. 같은 줄에 배열할 음식은 모두 같은 높이로 하여 정연하게 쌓아올리는데 원통형의 주변에다 ‘祝(축)·福(복)·壽(수)’ 등의 글자를 넣고 색상을 조화시키면서 괴어올린다.

이같은 굄새의 기술은 우리나라 상차림의 기교가 일찍부터 발달하였음을 입증한다. 음식을 높이 괴어올리는 큰상의 양식이 정착된 것은 조선시대이다. 큰상에 떡을 괼 때에는 직사각형으로 크게 자른 편을 편틀에다 차곡차곡 높이 괸 다음, 작은 모양으로 만든 주악·경단·화전 등을 웃기로 얹어 장식한다.

건어물은 큰 것을 여러 개 높이 깔고 그 위에 잘게 칼집을 넣어 꽃모양으로 오린 마른문어[乾文魚]를 장식한다. 이렇게 꽃 모양으로 함으로써 먹기 좋고 모양이 예쁘게 된다. 큰상의 양옆에는 절편에 물감을 들여 마치 나무에 꽃이 핀 모양으로 만든 색떡을 큰 양푼에 고정시킨 것을 장식한다.

그리고 조화(造花)로 된 상화(床花) 또는 생수화(生樹花)로 장식한다. 혼례축하에서는 큰상을 그날의 주인공인 신랑이나 신부 앞에 놓고 양옆으로 같은 항렬의 친척이 들러리격으로 함께 앉아 장국상을 함께 든다.

회갑·희연의 축하에서는 주인공이 되는 부부의 양옆으로 주인공의 윗항렬의 직계 어른이 같이 앉으며, 회갑·희연을 맞이한 주인공의 자손이 헌수(獻壽)의 잔을 올리고 만수무강을 기원한 다음, 장국상을 함께 든다.

축하의식이 끝나면 큰상을 헐어서 그날의 연의(宴儀)를 베풀고, 또한 대소가·친지·이웃사람들에게 반기를 나눈다. 반기는 작은 목판에 그 날의 음식을 고루 담아 대소가와 마을에 빠짐없이 돌려 축하하는 뜻을 함께 나누는 관습이다. 큰상을 받을 수 있는 기회는 평생에 많아야 2, 3회밖에 없다.

또한 큰상을 받을 수 있을 만큼 주변 사정이 허락되기도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큰상을 받을 수 있었다는 사실은 그만큼 복록(福祿)을 크게 받은 것을 의미한다.

귀한 복록은 혼자서만 향유하지 않고 여러 사람에게 나누어야 한다는 반복(頒福)과 공식(供食)의 관념에서 형성된 것이 반기의 관습이라 할 수 있으며, 종부(宗婦)는 반기를 고르게 나누어 친족이나 마을사람들과의 정을 더욱 돈독히 하였던 것이다.

참고문헌

『전통적 생활의식의 연구』-중-(윤서석,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한국식생활풍속』(강인희·이경복, 삼영사, 1984)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