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구봉 (투구)

목차
자연지리
지명
함경북도 무산군 연사면과 경성군 주남면에 걸쳐 있는 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함경북도 무산군 연사면과 경성군 주남면에 걸쳐 있는 산.
내용

높이 2,335m. 함경산맥중의 산으로, 관모봉(冠帽峰, 2,541m)에서 서남으로 궤산봉(机山峰, 2,277m)을 지나 투구봉에 이른다. 그 서남쪽에는 함경산맥을 넘는 설령(雪嶺)이 있다.

이 일대는 ‘대한알프스’라 불리는 우리나라 최고의 산들이 솟아 있는데, 그 고봉 중의 하나이다. 산릉은 북동쪽에서 남서쪽 방향으로 약 2,000m 높이에서 길게 뻗어 있고, 동쪽사면과 서쪽사면으로 산각(山脚)이 여러 갈래 뻗어 있다.

경성군인 동남쪽사면은 경사가 급하며, 산수골〔源水谷〕·말발골〔馬足谷〕·용수골〔龍水谷〕·큰거문골〔大黑谷〕·작은거문골〔小黑谷〕 등을 파고 있다. 이들 골짜기의 물은 모여 어랑천(漁郎川)의 상류를 이룬다.

무산군인 서북쪽사면은 경사가 극히 완만한 2,000m 내외의 고원을 이루고, 1,800m 높이부터 연사면 소운담골〔小雲潭谷〕을 파 그 물이 태평산(太平山) 남록의 구운수(九雲水)와 합류한다. 관모봉이나 설령산맥의 산들과 같이 2,000m를 넘는 높은 산으로 홍적세 빙하시대에는 고산빙하가 발달하였던 곳이다. 아한대(亞寒帶) 침엽수림으로 덮여 산림자원의 보고이다.

참고문헌

『함경북도지(咸鏡北道誌)』(함경북도지편찬위원회, 1970)
『함북대관(咸北大觀)』(김성덕, 정문사, 196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