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회당유고 ()

목차
관련 정보
팔회당유고 / 무신근왕시일록
팔회당유고 / 무신근왕시일록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이시항의 시 · 서(書) · 잡저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시항의 시 · 서(書) · 잡저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후손 동구(東九)가 편집, 간행하였으며, 간행연도는 미상이다. 권말에 외후손 고영익(高永翼)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80수, 권2에 서(書) 1편, 잡저 2편, 제문 8편, 부록으로 만사·제문·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시에는 「문앵제우회(聞鶯啼寓懷)」·「견문상지주우음(見門上蜘蛛偶吟)」·「신월(新月)」·「입춘견설(立春見雪)」 등 자연과 동물을 자신의 삶과 조화시켜 묘사한 것을 비롯하여, 김용(金鏞)·이항배(李恒培)·권두경(權斗經)·유승현(柳升鉉) 등에 대한 만시(輓詩), 유람시인 「사자암(獅子庵)」·「옥순봉(玉筍峰)」 등 다양한 제재의 작품이 고루 수록되어 있다.

잡저 중 「무신근왕일록(戊申勤王日錄)」에는 1668년 3월 사헌부감찰로 재직할 때 휴가를 얻어 고향에서 쉬고 있던 중 청주에서 변란이 발생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서울로 달려가 왕을 호위하고, 8월 『대학연의(大學衍義)』를 진강(進講)함과 동시에 붕당(朋黨)의 폐단을 건의하니 임금이 극구 칭찬하고 『사서광주(四書廣註)』 8책을 하사하였다는 내용이 당시의 국내사정과 연결지어져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 밖에 부록에는 유진현(柳晉鉉)·배강(裵絳)·이상정(李象靖) 등이 저자의 조상과 행적에 대하여 쓴 글들이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