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거 ()

목차
국악
작품
전통성악곡인 가곡의 네 번째 곡.
이칭
이칭
막내는 잦은 한잎, 막드는 자즌 한잎
목차
정의
전통성악곡인 가곡의 네 번째 곡.
내용

‘막드는 자즌한잎’이라고도 한다. 남창과 여창이 각각 있으며, 우조평거(羽調平擧)와 계면조평거(界面調平擧)가 있다. 「중거(中擧)」와 함께 가곡 한바탕 중에서 가장 늦게 만들어진 것이다. 「평거」와 「중거」는 『청구영언』에는 없고 『가곡원류』에 이르러 보인다.

「이수대엽(二數大葉)」의 파생곡으로, 그 선율의 많은 부분이 「이수대엽」과 같다. 노래의 경우 「이수대엽」은 1장을 숙여 내지만 「평거」는「초수대엽」처럼 약간 높여서 낸다. 그 밖에 1장의 처음에 ‘각’이 있어서 3박이 더러 생략되는 것도 「평거」의 특징이다.

남창 우조평거의 사설에는 「경성출(景星出)」·「눈맞아」·「샛별지자」등이 있고, 계면조평거의 사설에는 「반 넘어」·「산은」·「말이」등이 있다. 한편, 여창 우조평거의 사설로는 「일소(一笑)」·「이몸」·「꿈에 다니는 길이」·「꿈에 왔던」·「일정(一定)」·「어저」등이 쓰이고, 여창 계면조평거의 사설로는 「초강(楚江)」·「누구」·「녹초(綠草)」·「뉘뉘 이르기를」·「춘수(春水)」·「사랑」등이 쓰인다.

참고문헌

『가곡원류(歌曲源流)』
집필자
황준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