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6년 조사, 발굴되었다. 고분군은 7기(基)의 크고 작은 무덤으로 이루어졌으며 북에서 남으로 대동강을 향하여 뻗어내리는 산줄기 남쪽 능선 경사면에 조영되었다.
가장 규모가 크며 벽화분인 제1호분은 도굴 및 토사유실로 인하여 봉분은 물론 석실도 거의 파괴되고 묘실벽의 석회도 떨어져나가, 벽화내용의 파악이 어렵다. 벽 일부에 당초문의 흔적인듯한 가는 묵선(墨線)이 남아 있고 붉은 물감의 흔적이 있을 뿐이다.
근접한 제2호분 역시 석실이 근저에서부터 파괴되어 원형이 확인되지 않는다. 북으로 인접한 지역에 토포리고분군(土甫里古墳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