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산 이성 설화 ( )

구비문학
작품
신라시대, 승려 관기(觀機)와 도성(道成)의 신령스러운 삶에 관한 설화.
이칭
이칭
관기 도성 설화
작품/문학
편찬 연도
1281-1289년
간행 연도
1512년 이전
작가
일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포산 이성 설화」는 신라시대 승려 관기(觀機)와 도성(道成)의 신령스러운 삶에 관한 설화이다. 『삼국유사』 권 5 「피은편(避隱篇)」 「포산이성(包山二聖)」 조에 실려 있는 이야기로, 주로 두 성사(聖師) 의 우정과 기이한 행적, 신이한 능력과 영험함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의
신라시대, 승려 관기(觀機)와 도성(道成)의 신령스러운 삶에 관한 설화.
전승 및 채록

『삼국유사(三國遺事)』 권 5 「피은편(避隱篇)」 「포산이성(包山二聖)」 조에 실려 있다. 이와 유사한 형태의 구전 설화가 전해지나, 도성(道成)관기(觀機)에 대한 이야기가 전승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내용

신라시대에 관기와 도성이라는 두 성사(聖師)가 포산(包山)에 숨어 살았다. 관기는 남쪽 고개에 암자를 지었고 도성은 북쪽 굴에 살았는데, 서로 10리 가량 떨어져 있었다. 도성이 관기를 부르면 산속의 나무가 모두 남쪽을 향해 굽히며 서로 영접하는 것 같았는데 관기가 이를 보고 도성에게 갔다. 관기도 도성을 맞이하고자 하면 나무가 북쪽을 향해 구부러졌는데 도성이 이를 보고 관기에게로 갔다. 두 성사는 서로 구름길을 헤치고 만나 달밤 아래 노래하면서 서로 교류하였다. 하루는 도성이 자신이 거주하던 뒷산 바위 사이에서 몸을 빼내 온몸을 하늘에 날리며 세상을 떠났는데 간 곳을 알 수 없었다. 관기도 도성의 뒤를 따라 몸을 날려 세상을 떠났다. 지금도 두 성사가 거처하던 터가 남아 있다.

도성암(道成巖)은 높이가 두어 길이나 되는데 후인들이 돌구멍 밑에 절을 지었다. 태평 흥국 7년(982)에 승려 성범(成梵)이 이 절에 살면서 미타도량[彌陀道場]을 열어 부지런히 불도를 닦았는데 여러 차례 상서(祥瑞)가 일어났다. 이때 현풍의 신도들은 해마다 포산에서 향나무를 채취하여 절에 바쳤는데 향을 쪼개어 발 위에 펼쳐 두면 그 향나무가 밤에는 촛불처럼 빛을 발했다. 이로 말미암아 사람들은 향을 바치는 무리에게 시주를 하고 빛이 발한 해를 축하하였고, 이 일을 두고 두 성사의 보살핌이자 산신의 도움이라 하였다. 이때 산신은 '정성천왕(靜聖天王)'이었는데, 일찍이 가섭불(迦葉佛) 시대에 부처님의 부탁을 받아 발원 맹세를 하고 산중에서 1,000명의 수도자가 출현하기를 기다려 남은 과보를 받게 된 것이라고 하였다.

일연(一然)은 이 이야기의 말미에 해당 산속에 거했던 아홉 성사의 이름을 관기, 도성과 함께 열거하였다. 아홉 성사의 이름은 관기 · 도성 · 반사(㮽師) · 첩사(楣師) · 도의(道義) · 자양(子陽) · 성범(成梵) · 금물녀(今勿女) · 백우사(白牛師)이다.

의의 및 평가

『삼국유사』에는 깨달음에 이르거나 성불하기 위해 수행에 나선 두 인물의 이야기를 나란히 두어 구성한 이야기들이 여러 편 있다. 광덕(廣德)엄장(嚴莊), 노힐부득(努肸夫得)달달박박(怛怛朴朴), 원효(元曉)의상(義湘) 등의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이들 이야기에서는 수행의 태도와 종교적 관점 등이 대비되어 드러난다는 특징이 있다. 「포산 이성 설화」 또한 두 인물을 나란히 두고 있지만 다른 이야기들과는 구별되는 양상을 보인다. 등장 인물의 신이함과 영험함에 서술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두 승려가 세상을 피해 살면서 이룬 기이한 행적과 우정을 전체 서사에서 가장 핵심적인 주제로 부각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일연, 『삼국유사(三國遺事)』

논문

박인희, 「『삼국유사(三國遺事)』 도반설화(道伴說話)의 확장과 변모」(『어문연구』 37-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이강옥, 「삼국유사 출가득도담 및 출가성불담의 초세속 지향 양상」(『고전문학연구』 30, 한국고전문학회, 200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