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차 ()

목차
과학기술
유물
성을 돌로 공격할 때 쓰던 수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성을 돌로 공격할 때 쓰던 수레.
내용

이것은 나무의 탄력성을 이용하여 무거운 돌 등을 성 안으로 던져 공격하는 데 사용한 무기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부터 전투에 사용한 기록이 보인다. 즉, 신라 태종무열왕 8년(661)에 고구려 장군 뇌음신(惱音信)이 신라의 북한산성을 공격할 때 포차로 돌을 쏘는데, 날아가는 돌에 성 위의 담과 집이 맞는 대로 무너졌다고 하였다.

포차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나 그림이 남아 있지 않아 자세한 구조를 알 수는 없지만 중국의 포차를 보면 바퀴가 네 개인 수레 위에 나무로 기둥이 네 개인 탑을 세우고 그 위에 가로놓인 축에 긴 장대를 꿰어 장대가 위아래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였다.

장대의 한쪽 끝에는 줄을 많이 매달아 여러 사람이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고, 장대의 반대편 끝에는 돌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가죽을 끈으로 연결하였다. 돌을 발사할 때에는 돌을 장대 끝에 달려 있는 가죽 위에 올려놓고 반대쪽 장대 끝에 묶여 있는 끈을 많은 사람들이 갑자기 잡아채면 돌이 날아가게 되었다.

초기에 개발된 대형총통(大型銃筒)의 발사물이 둥근돌〔石丸〕이었던 점으로 미루어보면, 포차는 총통이 개발되기 전에 사용되었던 포(砲)의 일종이다.

참고문헌

『무기와 화약』(김기웅,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我國原始的?兵武器」(王榮, 『文物』4, 196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